메뉴

위해정보, 폭로 아닌 '대화'가 우선


"실추된 정부와 기업의 신뢰성은 일반인과의 쌍방향 대화를 통해 제고될 수 있다"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문 컨설팅기업 환경과건강 전상일 대표는 제11회 식품안전열린포럼에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Risk Communication) 활성화 방안으로 교육.홍보 등을 제시했다.

전 대표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이해당사자들이 위해성에 대한 정보와 의견을 교환.설득.상담하는 대화과정이며 위해성 대화로 지칭할 수 있다고 정의했다.

아크릴아마이드, 식품첨가물 논란 등은 위해정보가 올바르게 전달되지 않아 특정 식품을 기피하는 현상으로 이어졌다고 전 대표는 지적했다.

전 대표는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이 위해(risk) 정보를 옮길 경우 오류가 발생한다"며 "전문가들이 기술적인 대화와 위해성 대화를 혼동하거나 의도적으로 구분하지 않는 경우도 많아 위해성 대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전 대표는 "위해성을 인식하는 대상에 따라 위해성에 따르는 편익, 심리적.경제적 비용 등을 고려하는 행동패턴이 반영되기 때문에 위해성 대화가 힘들다"며 "불확실성이 제기될 경우 전문가들 사이에도 위해성 인식의 차이가 있어 의견이 조율되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 대표는 식품안전열린포럼과 같은 교육.홍보를 강화해 위해성 대화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자연.인문.사회과학 전문가가 모여 위해성 정보에 대해 학문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며 "대중의 지식과 인식을 조사하고,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위해정보를 교류하는 장을 마련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이 수반되야 한다"고 전 대표는 말했다.

전 대표는 또 "위해성 결과를 발표할 경우에도 균형있는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객관화시켜 전달해야 할 것"이라며 "일반인의 눈높이에 맞도록 위해자료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홍보도 강화되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정책개발 과정에 이해당사자의 참여를 보장하고, 위기관리 매뉴얼을 개발.운영해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위해성 분석은 위해확인, 위해성평가, 위해성대화, 위해성관리 등 4단계 과정을 거치는데, 위해성 대화 전문가가 전무해 이 과정을 생략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식약청이 유해물질관리단 내에 위해정보팀을 설치하는 등 위해성 대화를 시도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