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문은숙 식품안전정보원장 "건강한 먹거리 환경 구축해야"

[창간 11돌 인터뷰]"나트륨 저감 성공은 업계 저염제품 개발 필수"


"올 해는 새정부 출범과 함께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탄생으로 식품안전 환경이 크게 변할 것입니다. 식품안전은 소비자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시키는 필수 조건이므로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식품안전과 소비자 건강을 함께 다뤄야 합니다. 유해물질의 관리나 위해식품의 처벌 수준을 넘어 안전하고 건강한 먹거리 환경을 구축해야  합니다"


정부와 업체와 소비자간의 상생모델을 제시하고 국민건강과 식생활 문화를 주도해왔던 푸드투데이는 3월 1일 창간 11돌을 맞아 28일 문은숙 식품안전정보원장을 만나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나야갈 방향에 대해 들어봤다.


문 원장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소비자 건강을 보호할 뿐 아니라 나아가 건강 수준을 높이는 기관이라는 목적의식과 그를 실행할 정책체계, 조직체계와 인적 물적 자원을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식품안전정책의 목적은 안전한 식품만 소비자에게 제공해 소비자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다. 또한 소비자가 안전한 식품만을 선택하고 소비하도록 도와서 소비자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라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업무 목적과 범위는 이러한 식품안전정책의 목적이 생산에서 소비단계까지 일관되게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존립 목적, 정체성을 바로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소비자 건강 위한 소비자정책 강화···업계 소비자 불만 인정해야
 
문 원장은 식품안전과 소비자 건강을 위한 소비자정책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 원장은 기업이 소비자의 불만과 불신에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는 것을 깊이 인정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먹어도 죽지 않는데 소비자들이 너무 민감하다는 푸념과 구시대적 발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 새로운 도약을 할 수 없다"며 "소비자의 마음과 니즈를 따라 잡아야 한다. 이왕이면 몸에 좋은 식품을 찾는 소비자의 마음과 필요를 바른 방향으로 이끌고 충족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어는 곳에 가서 무엇을 먹어도 안전을 걱정하지 않는 안전한 먹거리 환경 조성을 위해 소비자도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공유하고 소비자가 알아야 할 것들, 실천해야 할 일들을 교육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정책을 우선으로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조 정책으로서가 아니라 가장 우선 정책으로 소비자의 안전한 식품 선택과 소비를 위한 소비자지원정책의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트륨·트랜스지방 저감 저염식품 개발 시급


식품의 나트륨·트랜스지방 저감 운동 등은 안전한 먹거리 환경 조성의 모범적인 사업이라고 밝혔다.


문 원장은 "나트륨으로 인한 질병은 매우 심각하다며 그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연간 20조 달한다고 우려를 표명하고 선진국에서는 나트륨으로 인한 질병의 심각성을 깨닫고 20여년 전부터 정부가 나서서 나트륨 줄이기 운동을 해오고 있다"며 "그에 비해 우리나라는 지난해 나트륨운동본부가 출범된 것을 보면 다소 늦은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의 나트륨 저감화 운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가공식품과 외식을 통해 식사를 하는 경우가 점점 늘고 있다. 업체와 외식현장에서 저염제품과 저염메뉴가 개발해야 한다"며 "특히 어린이들의 식탁이 라면, 치킨, 피자, 햄버거 등이 점령하며 어릴때부터 짠 맛에 길들여져 가고 있는 것은 큰 문제"라고 지적하고 "이를 위해서 업체에서는 염을 대폭 줄인 메뉴를 개발해 어린이들에게 건강한 먹을거리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ACCP·식품이력추적제 등 유기적 운영 필요


아울러 식품안전제도의 적극적이며 유기적인 운영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문 원장은 "안전하게 식품을 만들도록 하는 HACCP 제도, 생산에서 판매까지 제품을 투명하게 관리해 문제가 생기면 소비자가 먹지 않도록 즉각 추적관리할 수 있는 식품이력추적제도, 리콜된 제품을 소비자가 구매하지 않도록 마트에서 차단해주는 위해식품차단시스템 등은 선진적인 제도들이다"며 "이들 제도가 융합 운영돼 산업체의 부담은 줄이고 효과는 두세 배로 높이는 효율적 운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기후변화, 자연재해, 집단시설 등의 위생, 식습관의 영역까지도 꼭 필요한 식품안전관리 영역으로 등정했다며 이러한 변화 추세를 정책에 담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끝으로 문 원장은 식품안전정보원은 2009년 7월 설립이래 식품안전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수집·분석·제공하고 식품이력추적관리 사업 등을 체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국내 식품안전관리 향상에 기여해 왔으며 아시아지역 정보 허브로서 글로벌 공동체에 기여하는 국제적 기관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