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에는 기르기 어려운데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고서 '산림경제지 . 양잠편'에따르면 “누에는 통곡하는 소리, 부르짖거나 성내는 소리, 욕지거리, 음담패설을 싫어하고 그밖에도 불결한 사람이 곁에 오는 것을 싫어하며 부엌에서 칼쓰는 소리를 싫어하며 대문이나 창문 두드리는 소리 또한 싫어한다. 연기도 싫어하고 생선이나 고기 굽는 냄새도 싫어하며 비린내, 누린내에 사향냄새까지도 싫어한다”고 했다.
누에를 치기 위해서는 위생과 환경이 중요하다. 특히 뽕밭에 농약을 치지 않는데 이는 농약이 묻은 뽕잎을 먹게 되면 누에는 바로 죽게되므로 안전성 검정용 누에를 실험곤충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즉 누에는 잔류농약의 위험은 전혀 없는 것으로 유명하다.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는 국산을 선호하는데 누에의 특성으로 중국산도 안전할 것이라는 기대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외국산을 찾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백강잠의 외국산 구입은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중국산 백강잠을 수거, 성상(외형)시험과 순도시험, 회분시험 등 9개 항목에 걸쳐 실험한 결과, 실험샘플 3종 모두에서 ‘부적합 판정’이 나온 사례가 있다.
특히 불합격 판정을 받은 백강잠은 백강병에 걸린 누에가 아니라 일반 누에가 ‘약재’로 둔갑해 유통됐다는 것이다.
위생상 안절할 꺼라 믿었던 누에 관련 제품도 제대로 알아야 된다. 이번에는 백강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백강잠(白殭蠶)이란
이 약은 누에 Bombyx mori (Linne) (누에과 Bombycidae)의 유충이 백강병균 Beauveria bassiana (Bals.) Vuill.의 감염에 의한 백강병으로 경직사한 충체 죽은 것을 말린 것이다.
백간잠(白乾蠶)이라고도 하며 주로 4월에 취득한다.
백강잠의(白殭蠶) 효능 및 효과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경련을 진정시키며 울결(鬱結)을 푸는 효능이 있으며 담(痰.가래)을 삭여서 중풍(뇌졸중) 등에 의한 언어장애, 반신불수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한약재.
성미(性味)는 맵고 짜면서 고르다 (平辛鹹)
1) 고문헌에 따른 효능
熄風解痙 (식풍해경),
小兒驚風 (소아경풍),
中風失陰 (중풍실음),
疏散風熱 (소산풍열),
風熱頭痛 (풍열두통),
目赤 (목적), 여기서 목적이란 풍으로 인한 충열을 말한다.
驚癎抽搐 (경간추축),
化痰散結 (화담산결),
瘰癧結核 (나력결핵),결핵
解毒利咽 (해독이인),인후와 목을 풀어줌
咽喉腫痛(인후종통)
2) 약리작용
진경(鎭痙)작용 - 항경련작용,
세균 억제,
항암,
수면촉진작용
경풍(驚風), 경간(驚癎), 중풍으로 말을 못하고 구안와사, 반신불수가 있을 때, 후두염, 두통, 안질, 피부 가려움증, 연주창, 자궁출혈 등에 사용되고 있다.
3) 민간요법에서 활용
경풍(驚風), 경간(驚癎), 중풍으로 말을 못하고 구안와사, 반신불수가 있을 때, 후두염, 두통, 안질, 피부 가려움증, 연주창, 자궁출혈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밖에 가려움증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어 풍진(風疹), 소양(瘙痒)증에는 선퇴·박하 등을 같이 쓴다.
4) 미용과 백강잠
고서에 ‘백강잠을 꾸준히 바르면 피부가 우유빛이 된다’고 했으며 탁월한 미백효과 및 검은 기미를 없애서 안색을 좋게 하기도 한다.
백강잠(白殭蠶) 복용법
백강잠 5개를 빻아서 아침 저녁으로 혹은 3∼5회 정도 복용한다.
초원한방플러스 윤여진 대표는 "백강잠은 습기에 젖으면 독이 생기므로 습기에 젖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며 "백강잠은 풍에 좋다고 알려져 있지만 풍한(風寒)으로 설태(舌苔)가 백색이며 오한(惡寒)이 심한 자, 혈허(血虛)로 경락(經絡)이 경급(硬急)하여된 병증에는 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풍은 생명을 다투는 중한 병으이므로 민간지식에 의존하기보다 한의사나 의사와 상담을 꼭 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자료제공=초원한방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