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김치 99.9%가 중국산…2024년 수입식품 통계 보니

옥수수·돼지고기 수입 급증…미국·브라질 등 수입국 다변화 뚜렷
수산물·건기식은 감소세…수입식품 부적합률 0.04%로 낮은 수준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2024년 우리나라의 식품 수입량이 총 1,938만 톤으로 전년 대비 5.4%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완화된 공급망 영향과 이상기후, 국제 정세 변동 등에 따라 미국산 곡물 수입이 늘고, 신선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수입의존도가 커진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가 발표한 ‘2024 수입식품 통계’에 따르면, 수입 식품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품목은 농·임산물(46.5%), 가공식품(34.3%), 축산물(9.3%) 순이었다. 특히 김치, 밀, 옥수수, 돼지고기 수입이 크게 늘었다. 김치는 31만2천 톤 수입되며 4년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으며, 대부분이 중국산(99.9%)이었다.

 

옥수수는 미국(1,070.7%↑), 세르비아(1,276.6%↑)산 수입이 급증해 전체 수입량 225만 톤 중 상당 비중을 차지했다. 반면 우크라이나·루마니아산 수입은 각각 16.0%, 71.3% 감소했다. 돼지고기는 독일·브라질·미국산 수입이 급증하면서 전체 수입량이 10.8% 증가했다.

 

건강기능식품 수입량은 2년 연속 감소해 전년 대비 4.2% 줄었지만, 국산 건강기능식품 수출은 12.2% 증가하며 2억 7,864만 달러 규모를 기록했다. 이는 국내 제품의 해외 경쟁력 상승과 온라인 직구 증가가 맞물린 결과로 분석된다.

 

반면, 수산물 수입량은 냉동명태·고등어·오징어 수입 감소로 전년 대비 7.4% 줄어든 90만 톤에 그쳤다. 해수온 변화 등 기후 이슈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한편, 전체 수입식품 가운데 부적합 판정을 받은 양은 7,352톤으로 전체의 0.04%에 불과했다. 주요 부적합 사유는 ▲개별 기준·규격 위반(31.4%) ▲식품첨가물 기준 위반(20.2%) ▲농약 잔류기준 위반(17.2%) 등이었으며, 중국·베트남·미국 순으로 부적합 건수가 많았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수입식품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하며, 현지실사부터 통관, 유통 단계까지 안전망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해외직구 건강식품 증가에 따른 사전 모니터링도 확대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