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오유경 식약처장이 AI 기반 생산 현장을 직접 방문하고, 제약업계와 인공지능 기술 활용 및 규제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식약처는 AI를 활용한 제약산업 혁신을 본격 지원할 계획이다.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29일 충청남도 천안 소재 종근당을 방문해 격려하고, 제약업계와의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현장 방문은 의약품 개발부터 품질관리까지 전주기에 걸쳐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되는 현황을 공유하고, 업계의 애로사항과 규제지원 필요사항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종근당은 AI와 빅데이터,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해 실제 공장을 가상 공간에 구현한 ‘통합 가상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품질 향상을 추진하고 있다. 오 처장은 생산 현장을 직접 살펴본 뒤 “의약품 품질관리 분야에 AI를 적용하는 것은 의미 있는 시도”라며, “AI 기술을 통해 제품 품질을 한 단계 끌어올리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날 이어진 간담회에서는 제약업계 12개 사를 비롯해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규제과학센터, AI신약융합연구원 관계자 등이 참석해 ▲의약품 개발·품질관리 분야 AI 적용 사례 ▲AI 활용 의약품 허가 심사 기준 마련 ▲AI 생태계 조성 방안 등을 폭넓게 논의했다.
오 처장은 “업계의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AI 기술이 제약산업 혁신을 이끌고 국민 보건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AI 적용 과정에서의 규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약품 개발을 신속히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도 “제약업계가 AI 기반 혁신기술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K-MELLODDY 프로젝트 등을 통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K-MELLODDY 프로젝트는 AI 기반으로 임상시험 필수 데이터를 예측하는 연합학습 모델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제약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첨단기술을 활용한 의약품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국민에게 신속하고 안전한 의약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