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정부가 세제 혜택과 원료비 완화 정책으로 식품업계의 부담을 줄여줬음에도 불구하고, 주요 식품기업들이 잇따라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어 소비자들의 반발과 불신이 커지고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회장 문미란)는 2월 성명을 통해 식품업계의 무분별한 가격 인상을 비판한 데 이어, 3~4월 잇따른 제품 가격 인상 행보에 대해 “기업은 이윤만 추구하고 소비자 부담은 외면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소비자단체에 따르면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코코아, 커피농축액, 설탕 등 13개 수입 원재료에 대해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부가가치세를 면제하는 등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지원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은 라면, 컵밥, 아이스크림, 유제품 등 주요 가공식품의 가격을 올리고 있다.
특히 일부 원재료는 국제 시세가 오르지 않았음에도 가격 인상의 명분으로 제시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밀가루, 식용유, 옥수수 등의 가격은 전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단체가 공개한 2023~2024년 식품업계 주요 기업의 실적 자료에 따르면, 상당수 기업들이 영업이익이 오히려 증가한 상황이다. ▲CJ제일제당은 영업이익이 20.2% 증가했고, ▲빙그레(17.0%) ▲오리온(10.4%) ▲남양유업(86.3%) 등도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소비자단체는 “이처럼 원가 부담은 크지 않은 상황에서 정부 지원 혜택을 받고도 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명백한 소비자 기만”이라며 “가격 인상에 나선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은 재검토해야 하며, 정부도 소비자 중심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국내외 경기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소비자 신뢰 없이 기업 성장도 없다”며 “원재료 하락분을 반영해 합리적인 가격 조정을 통해 가격 안정과 책임 경영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