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고] 광역울타리 안 야생멧돼지를 완전 소탕해야

환경부는 5월 12일 현재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감염 멧돼지 발생건수가 612건을 넘어섰다. ASF 양성 야생멧돼지가 경기 파주·연천, 강원 철원 등지에서 주로 발견되다가 최근 들어 양구, 고성까지 확산되며, 어디까지 확산될 지 양돈농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ASF 방역의 성공 여부는 야생멧돼지 퇴치에 달려 있는 만큼 고강도의 야생멧돼지 관리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야생멧돼지의 관리부처인 환경부는 최근 야생멧돼지 차단을 위해 광역울타리 보강과 함께 대대적인 폐사체 수색과 포획틀 등을 활용한 개체수 저감에 나서고 있다고 선전하지만 ASF 피해지역 양돈농가의 재입식을 허용하지 않는 현재 상황을 볼 때 지난 8개월간 멧돼지 관리대책은 전혀 성과가 없었다고 할 수 있다.

 

정부는 더 이상 멧돼지 방역 실패의 책임을 농가에게 지우는 식의 정책을 버려야 한다. 더욱이 이런 단발성 조치만으로 야생멧돼지의 증가세를 꺾을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으로 야생멧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요구를 하고 있다. 


첫째,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ASF 검출지역을 중심으로 광역울타리 내에 광역수렵장을 확대하고, 전문수렵인을 대거 투입해 대대적인 야생멧돼지 감축에 나서야 한다. 현재는 시·군 단위로만 수렵장이 개설돼 있기 때문에 해당 시·군의 경계를 벗어난 지역에서의 수렵이 불가능하다.  


환경부가 야생멧돼지 남하를 막기 위해 설치한 광역울타리(경기 파주에서 강원 고성까지 총연장 476㎞) 내에 광역수렵장을 개설해 대대적인 야생멧돼지 수렵에 나서야 할 것이다.  


또한 야생생물관리협회에 따르면 전국에 동시 투입 가능한 전문수렵인 5000여명 가량이 된다고 한다. 독일에서는 ASF가 발생하면 일시에 전국의 수렵인을 야생멧돼지 감축에 투입하는 ‘수렵인 총동원령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이를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해야 한다. 정부는 멧돼지 개체수가 적정 수준이 될 때까지 4~5개 시·군 단위로 광역수렵장을 조성한 후 전문수렵인을 투입해 집중 포획에 나서야 한다. 


둘째, ASF 양성 야생멧돼지가 남하하지 못하도록 ‘서울양양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 주변에 울타리를 설치해 남하저지선으로 활용해야 한다 기존에 설치된 광역울타리는 미설치구간도, 설치가 부실한 구간, 언덕구간 등의 허점이 있어 멧돼지의 전파 방지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서울양양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 양 고속도로를 경계로 삼아 남쪽에서부터 북쪽 방향으로 합동 수렵에 나선다면 멧돼지가 남쪽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전국 야생멧돼지 3년간 매년 75% 이상 제거해야 한다. 강원대 박선일 교수의 야생멧돼지 개체수 감소 전략 연구 시뮬레이션 결과 야생멧돼지 개체수를 3년간 매년 75% 이상 줄이지 않으면 개체수는 급속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기 때문에 매년 75% 이상 멧돼지 개체수를 감축하고자 목표를 갖고 2020∼2022년까지 3년간 추진해야 한다. 


넷째,야생멧돼지에서 ASF 남하추세 고려해 전국 양돈장 울타리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CCTV 등 방역인프라 설치 지원사업 등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차단용 울타리 보강과 방역작업이 일회성으로 끝나서도 안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