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우유 값이 1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우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발효유는 물론 치즈와 아이스크림 등 유제품의 가격 상승도 불가피해졌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우유 소비자물가지수는 118.13으로 전년 대비 9.9%나 껑충 뛰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19.1%) 이후 14년 만의 가장 높은 가격이다. 지난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3.6%)과 비교하면 무려 2.8배에 달한다. 유제품 물가 상승률도 최고 기록이다. 발효유를 비롯한 유음료 물가 상승률은 12.5%다. 1981년(18.4%) 이후 42년 만에 최고 기록이다. 치즈류도 상황은 비슷하다. 상승률은 19.5%로 2008년(22.0%) 이후 15년 만에 최고치다. 아이스크림 물가 상승률은 10.8%로 2008년(14.4%) 이후 15년 만에 최고점을, 분유 물가 상승률은 6.8%로 2014년(7.15%)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추이를 보이고 있다. 우유값은 지난해 10월부터 주요 상품들의 출고가가 오르기 시작했다. 실제로 서울우유의 흰우유 제품인 '나100%우유(1ℓ)' 출고가는 대형할인점 기준 3%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신선식품을 비롯한 밥상물가가 고공행진하는 가운데 가공식품과 장류 크게 오르면서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더욱 커지고 있다. 7일 한국소비자원(소비자원)의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가공식품 32개 품목 중 24개 가격은 1년 전보다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이 오른 품목의 평균 상승률은 15.3%다. 특히, 양념류와 소스류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진 양상을 보였다. 품목별로 보면 햄의 10g당 가격이 지난해 10월 대비 37.7%나 올라 가장 상승률이 높았다. 케첩은 100g 기준 36.5%, 된장이 100g 29.6% 껑충 뛰었다. 이 외에도 간장(100mL·28.6%), 참기름(10mL·27.8%), 카레(10g·25.4%), 마요네즈(100g·24.1%) 등 물가가 큰 폭으로 인상됐다. 또, ▲생수(100mL·16.9%) ▲우유(100mL·13.8%) ▲설탕(100g·11.3%) 등 필수 식품으로 분류되는 품목이 15% 안팎의 높은 가격 상승률을 나타냈다. 반면 가격이 떨어진 품목도 있었다. 콜라 100㎖ -6.5%, 소시지 100g –5.7%, 맛살 100g –4.5%, 시리얼 100g –3.7%, 컵라면 1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카스 등 맥주의 출고가를 평균 6.9% 올린 오비맥주에 대해 비난했다. 23일 협의회는 "타당성이 없는 가격 인상을 당장 철회해야 한다"고 성명을 냈다. 협의회는 "오비맥주가 환율 불안과 각종 원부자재 가격 상승, 국제유가 급등으로 인한 원가 부담을 가격 인상 이유로 들고 있지만 분석해 본 결과 납득할 수 없는 결론이 나왔다"고 밝혔다. 실제로 맥주의 원재료인 국내산 맥주맥 가격이 1kg 기준으로 2021년 평균 1천36.80원에서 지난해 평균 988.22원으로 4.7% 하락했다. 또 다른 원재료인 호프(홉)는 2021년 단가 평균 대비 작년 가격이 7.0% 하락했다. 지난 8월 호프 가격은 전달보다 50.4% 떨어졌으며 당분간 하락세를 이어갈 확률이 높다는 것이 협의회의 의견이다. 또, 오비맥주의 매출원가율을 분석한 결과, 2020년 40.1%, 2021년 42.2%, 작년 41.0% 등으로 큰 변동이 없었다며, 오비맥주의 지난해 매출원가율은 전년 대비 1.2%포인트(p) 낮아졌으나 영업이익률은 3.7%포인트 높아져 원가 부담으로 인한 가격 인상이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비맥주가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집중호우와 지속되는 폭염, 그리고 태풍 카눈이 들이닥치면서 농산물 가격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특히, 배추와 무를 비롯한 채소류의 도매가격이 전달대비 두 배 이상 급증했다. 10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배추 10kg 가격은 2만 3080원을 기록했다. 이는 7월 9189원에서 151.2%나 급등한 가격이다. 무 역시 20kg 기준 1만2170원에서 2만8500원으로 134% 올랐다. 같은 기간 대파 가격 역시 53% 상승했다. 깻잎(2kg)는 2만505원에서 3만8560원으로, 시금치(4kg)는 3만5090원에서 5만5860원으로 올랐다. 100g당 가격은 2305원으로 평년 평균보다 54.5%나 올랐다. 붉은고추(10kg)의 지난달 평균 가격은 6만6476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5.4% 뛰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폭우로 여의도 면적의 농경지가 참수되면서 공급량 감소에 상승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문제는 태풍 카눈에 따른 피해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추석을 앞두고 수급이 불안정 해지면서 ‘물가대란’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배추의 경우 6월부터 10월까지 시장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가장 대표적임 복달임 음식인 삼계탕의 주재료가 되는 닭고기의 소매 가격이 1년 사이 10% 가량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9일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당 닭고기 소매가격은 6147원으로 1년 전보다 8% 올랐다. 지난해 말복(8월15일) 사흘 전인 12일(5639원)과 비교해도 9% 높은 가격에 형성돼 있다. 지난해 말복(8월15일)을 3일 앞둔 12일 기준 5639원에 비교했을 때도 9% 높은 수준이다. 월별 소매가격도 1년 전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1∼7월 월평균 소매가는 5327원∼6229원이었으나 올해 1~7월에는 5794원∼6439원으로 조사됐다. 한국물가정보가 지난달 초복에 삼계탕 재료 7가지 품목 가격을 조사한 결과, 4인 가족 기준 평균 비용은 3만4860원으로 지난해보다 11.2% 오른 가격이다. 닭고기 가격 상승은 생산비는 증가했지만 사육을 하는 생산자는 줄어들었다는 것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집계에 따르면, 지난달 집중호우로 닭 73만8800마리가 폐사했다. 또, 최근 35도가 넘는 폭염이 이어지면서 온도 관리를 위한 전기사용료의 부담도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정부가 2011년 이후 최고치를 찍은 설탕 가격 잡기에 나섰다. 30일 정부는 국무회의를 열어 6월 초부터 연말까지 설탕 할당관세 잔여 물량에 대한 적용세율(현 5%)과 원당 기본세율(현 3%)을 각각 0%로 낮추기로 결정했다. 원당 가격은 2022년 말부터 상승하기 시작, 5월 현재 t당 549달러를 기록 중이다. 이 가격은 역대 최고치를 찍었던 2011년(708달러)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설탕 가격도 669달러로 2011년 799달러의 87.4% 수준이다. 하지만 문제는 원당 및 설탕 가격이 멈추지 않고 계속 오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3월부터 제당 및 설탕 수입업계, 식품업계 등과 긴급 회의를 열어 관계부처와 설탕 가격 안정화 방안을 모색해 왔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3개 업체가 원당을 수입해 연간 143만 t의 설탕을 생산하며 수입량은 11만t 수준이다. 수출 물량은 25만t이다. 국내 식품업체의 소비량은 연 119만t으로 전체 공급량(129만t)의 92%를 차지한다. 국내 3개 제당업계(CJ제일제당·삼양사·대한제당)는 지난 25일 농식품부와의 간담회에서 “설탕의 소비자 가격 인상을 최대한 자제하는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지난달 치킨값을 3000원 인상했던 교촌치킨이 다시 가격을 할인해 판매하겠다고 밝혀 비난을 받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교촌치킨은 배달의 민족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지난 달 1만9000원으로 올렸던 교촌 오리지날 한 마리의 가격을 1만6000원으로 할인해 판매하고 있다. 교촌치킨은 지난 달 주요 메뉴의 가격을 3000원씩 올렸다. 이에 따라 한 마리에 1만9000원이 된 교촌 오리지날 뿐 아니라 ‘허니콤보’도 2만원에서 2만3000원이 판매된다. 교촌치킨은 ‘치킨 가격 배달비 포함 3만원’ 시대를 열었다는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올해 초 농림축산식품부가 “식품·외식 가격 인상을 자제해달라”고 재차 요청했는데도 불구하고 대폭 가격을 올렸다. 당시 교촌치킨은 가맹점 수익 구조가 수년간 악화한 상황에서 부득이하게 가격을 올린다고 설명했다. 임차료, 인건비 등 운영비용 상승에 최근 원부자재 가격도 크게 올랐다는 주장이다. 교촌치킨은 2021년 11월 가격 조정 이후 1년 5개월여 만에 치킨 값 인상을 단행한 바 있다. 이연화 소비자연대 대표는 "지난 2021년 11월 교촌치킨이 치킨업계에서 처음으로 제품 가격을 8.1% 올렸고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국제 설탕 가격이 최근 11년 사이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19일 외신 등에 따르면 설탕 가격이 수요 증가에다 향후 작황에 부정적인 기후 예보마저 더해지면서 최근 급등했다고 보도했다. 원당 선물 가격은 최근 수일간 파운드당 24센트까지 오르면서 근래 11년 사이 최고가에 도달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도 지난달 세계 설탕 가격지수는 127.0으로 올해 1월에 비해 약 9% 올랐다고 전했다.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히는 것은 기상이변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의 설탕 분석가는 설탕 생산국에 확산하는 기후 리스크들을 언급하며 "설탕과 관련한 기본 여건들을 보면 가격에는 단기적으로 상승 요인"이라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자 국내 식품업계도 긴장을 하고 있다. 제과는 물론 거의 전 식품에 사용되는 설탕 가격이 오르면 국내 물가 상승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영향으로 세계 곡물 가격이 상승했고, 이 영향이 국내 식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졌다. 또, 밀가루를 포함한 원재료 값이 급등하면서 국내 식품업계와 외식업계는 제품의 가격을 올린 바 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설탕값을 뛰게 만든 가장 큰 요인은 바로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지난해 하반기 이후부터 이어진 급격한 식품 물가 상승세가 올 상반기 정점을 찍을 예정이다. 특히, 설 연휴가 지나자마자 식품업계가 가격 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다음달부터 일부 제품 가격을 인상한다. 금번 인상되는 품목은 95개 품목으로 평균 인상폭은 6.6%다. 주요 인상 품목은 ‘후레쉬식빵’가 3200 원에서 3300원(3.1%)으로 ‘치즈소시지페스츄리’가 2800원에서 2900원(3.6%), ‘고구마반생크림반케이크’가 31000원에서 32000원(3.2%) 등이다. 파리바게뜨 관계자는 “원료비와 각종 제반 비용 상승에 따라 불가피하게 이뤄진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제과도 일부 제품의 가격을 2월 부터 순차적으로 인상한다. 제과류 중 마가렛트는 3000원에서 3300원으로 오르고 초코빼빼로와 꼬깔콘은 각각 1500원에서 1700원으로 인상된다. 가나초콜릿과 목캔디는 1000원에서 1200원이 된다. 자일리톨 용기제품의 경우 중량은 87g에서 100g으로 증가하고 가격은 5000원에서 6000원으로 오른다. 몽쉘도 기존 192g에서 204g으로 중량이 늘고 가격은 3000원에서 3300원으로 10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설 연휴기간 최강 한파가 지속되면서 채솟값에 비상등이 켜졌다. 25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대표적으로 많이 소비되는 채소 25개 품목이 모두 상승했다. 25일 기준 시금치 1㎏ 소매가격은 8757원으로 한 달 전(6696원)보다 큰 폭으로 올랐다. 한 달 사이 두 배 정도 급등했던 애호박 가격도 여전히 오름세다. 25일 기준 애호박 1개 가격은 2339원이다. 애호박 가격은 지난 5일 기준 2263원으로 전월(1160원)보다 95% 급등한 상태다. 제주도 역시 한파 피해를 비켜가지 못했다. 제주도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무와 브로콜리, 콜라비, 양배추 등 농작물이 언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다. 노지감귤도 수확을 하지 못한 것은 폐기처분을 해야할 상황이다. 제주지역 최대 월동무 산지인 성산읍 지역에서도 언 피해를 입었다. 도 관계자는 "날씨에 민감한 채솟값이 올해 초 한파로 이미 두 배 가량 오른 상황에 전국 한파 특보로 추가 가격 상승 전망이 번지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동해 유발온도는 무 0℃, 양배추 -6℃, 마늘 -7℃, 양파 -8℃, 보리 -12℃, 유채 -13℃, 감귤(가지) -5.5℃ 등이다. 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