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3년차를 맞은 지구촌은 혼란과 불안 속에서 각 나라가 국경에 빗장을 치며 개인의 이동과 만남이 단절된 가운데, 국민 개개인의 일상과 가치관의 변화는 식생활 패러다임에도 대변혁을 가져왔다. 이런 어렵고 혼란스러운 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식생활 안전과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즉 식량안보 측면의 생산, 제조, 유통업계에 대한 소중한 정보를 전하며 독자들의 눈과 귀가 되어준 푸드투데이 관계자 여러분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의 뜻을 전한다. 탄소 중립 원년을 맞이해 임인년 새해에는 검은 호랑이의 기운을 받아 열정과 도전으로 식품사업의 발전과 안전한 식생활의 기반을 다질 수 있는 초석이 돼 줄 것을 부탁드린다. 현재 우리나라는 “집콕”의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일반 소비층은 삼시세끼를 챙겨 먹는 대신 건강한 식사, 보기 좋은 식탁, 다양한 간식 등을 챙기는 식생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포장, 배달과 함께 가정 간편식으로 기존 집밥에 대한 인식이 크게 바뀌고 있는 것이다. 이전에 ‘몸에 좋은 건강한 식품은 입에 쓰다’는 말이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헬시 플레저(healty pleasure)’ 즉, ‘건강에도 좋고 맛도 있고 보기도 좋은 식품’을 추
추석에는 햇 곡식과 햇 과일을 정성껏 차려 조상에 감사의 예를 올리는 것이 관례로 지켜왔다. 이번 추석 명절은 작년에 이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Covid 19로 사회적 거리두기와 이상 기후로 인한 경작 악화로 학교 급식과 단체급식이 원활히 공급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농업에 종사하는 생산자는 엄청난 경제적 손실로 가슴 앓이를 하고 있고 소비자는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가계에 부담을 주고 있다. 생명자원인 농산물은 식량 안보적 차원과 농업의 공익적 기능이 반영된 우리 식탁에선 가장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갖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Covid 19가 확산 되면서 자국의 식량 안보를 지키기 위한 모든 정책을 수반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농촌은 열악한 상황을 통계가 입증하듯 2020년 농가 수준 전체 가구의 5.1% 농가 인구는 전체 인구의 4.5% 수준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게다가 고령 인구 비중이 42.5%로 전체 평균의 3배 가까이 높고 소득은 역시 도시 근로자의 60%에 수준에 불과하다. 농업과 농촌이 갖고 있는 공익적 가치는 식량 안보, 안전한 농산물 공급, 녹지 보존 및 도시민의 힐링 케어 역할을 해주며 나아가 전통적 문화 유산에서 기
식품안전 주간을 맞아 국민적 공감대 확산을 위해 정부, 산업계, 학계, 소비자가 함께하는 식품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행사들이 전개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 UN에서도 6월 7일을 ‘세계 식품안전의 날’로 지정함으로써 국제 사회에서도 식품산업 안전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현재 기후변화와 더불어 1인 가구 증가와 고령화 속도가 가속화됨에 따라 가정식 대신 HMR(Home Meal Replacement, 간편식)과 외식을 선호하고, 새벽배송을 통해 내일 아침 식사에 필요한 제품을 저녁에 신청하여 집 앞에서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가 일상화되는 등의 소비 패러다임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또한 건강과 다이어트, 안전한 식품을 통한 건강한 생활을 보장받고자 하는 소비자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식품산업은 눈부신 발전을 통해 획기적인 상품을 개발하면서 소비자 선택도 다양화 되고 있다. 안전한 식품을 통한 국민의 건강을 보장받기 위한 정부 정책에 소비자들의 기대치는 점차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를 돌이켜 보더라도 이상기후현상에 따른 식품의 안전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게 다뤄졌다. 과거에는 단순히 식품 안전과 관련된 사고 유형이 물리적 수준이었다면, 이제는 바
최근 달걀 산업에 종사하는 생산자 단체와 회원들은 2019년 2월 23일부터 실시하는 계란 난각의 산란일자 표기와 관련하여 근본적인 해결책을 만들어 달라며 식약처 정문에서 45일간의 단식투쟁을 하고 있다. 지난 2017년 8월 발생한 살충제 달걀 사태 후 안전을 위한 강화 대책으로 나온 난각 산란일자 표시가 오히려 살충제 사태 이전보다 더 악화된 대책이며, 이로 인해 계란생산 농가들은 피해가 감당할 수 없이 심각하다는 점을 호소하고 있다. 그동안 생산단계의 주무부처인 농림부, 유통단계의 주무부처인 식약처, 학계, 소비자 대표 등이 수차례 소통작업을 거쳐 난각의 산란일자 표기를 유예기간을 거쳐 의무화하기로 결정된 내용이었다. 그러나 막상 시범 시행일자인 2월 23일을 코앞에 두고 생산자 단체는 단식투쟁과 호소를 통해 표기 철회를 주장하고 있어 국민인 소비자들은 정부의 불신과 혼란 속에 어떤 과정에서 소통의 부재로 인한 것인지 혼란스럽다. 정작 유통단계 주무부처는 시범사업단계를 시행해보고 문제가 있으면 중간에 평가를 통해 수정 및 개정을 해보자고 하고, 소비자 단체는 안전을 위한 법을 만들었으면 강행을 해야 할 것이라는 생산자·소비자 양쪽의 성명서로 대립각을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