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해외진출 성공 열쇠는 '한식 세계화'(2)

미국에서는 중국음식과 일본음식을 만드는 한국인들은 많지만 한국음식을 만들어 파는 외국인들은 적다.

또한 중국 및 일본식당 등 민족 식당들은 현지인들이 자발적으로 찾아오지만, 한국식당을 한국인동반자 없이 자발적으로 찾는 현지인들은 많지않다.

현지화로 대중성 확보

대부분의 한국음식은 유명 한식 전통식당에 Korean Foods는 반드시 존재하게 해야 할것이다.한국음식이 세계화되기 위해서는 누구나 쉽게 접할수 있어야 하고 대중속에 파고들어야 할 것이다.

비밀이 새나가지 않게 하기위해서 ‘며느리도 몰라’식의 전통조리법은 소위 ‘짝퉁’이 많다는 것은 유명하다는 말이다.미국의 일식당 대부분이 일본인이 아닌 한국인이 운영하고 있는데,우리의 한국음식의 현주소는 태국 베트남 음식보다도 보급률이 낮아 한식당은 주로 한국인이 몰려 있는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그래서 영업 전략이 현지 한국인 상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그 자리를 맴돌고 있다.

한식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신선함을 강조하고,영양 분석표를 자발적으로 게시하며,미국에 진출한 중국음식이나 베트남 음식의 최대약점인 MSG를 배제하는 마케팅 전략을 펼쳐야 한다.그래서 일본음식과 같은 고급장르에 올라서는 전략이필요하다 하겠다.

특히 현대들어 아시아 음식들이 깔끔하고 신선한 소재와 음식으로 전면에 급속히 부각되고 있다.미국의 입맛들이 아시아 음식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영업 전략이 한인 커뮤니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우리 외식업계의 미국 진출은 이러한 호기를 놓치면 안 될것이다.

전통적인 것보다는 대중적인 방식으로 음식과 문화를 만들어 갈수 있는 능력은 국가적인 정부차원에서 외식투자업체들에게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것이다.

끊임없는 메뉴 개발 노력

세계음식의 변화는 이제 세계 곳곳에서 퓨전음식으로 급속도로 변해가고 있다.

한식당도 기본은 지키되 이에 대처해서 접근하는 현지화 전략이 절대 필요할 것이다.전통을 보존만 할것인가,아니면 시대적 흐름에 동참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결론은 현지인의 입맛과 음식 습관을 고려하여 우리의 음식을 그들의 방식으로 메뉴를 접목하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각 호텔마다 대부분 뷔페 레스토랑을 운영하고 있으며,거의 모든 컨셉이 대형으로 운영되고,많은 자금을 투자하여 유명브랜드의 모델점포를 표방하므로,미국에서 한식을위한 광고전략은 크지않아도 밀집지역 곳곳에 돌출된 한식당 간판이 있다면 광고효과는 최고일 것 이다.

얼마전 대장금드라마가 안방에서 모든 사람들의 눈을 사로잡은 때가 있었다,지금도 인도등 동남아와 일부국가에서 방영이돼 큰 호응을 얻고있지만,한식에 티가 있다면 궁중요리인 수라상등은 너무 복잡하고 만들기가 번거롭다는것이다. 따라서 우리 외식업체에서는 전통을 고수하되 각각의 식습관에 맞는 메뉴개발과 함께 한식의 최선봉이라는 책임감으로 분위기와 음식을 함께 파는 전략이 필요하다.

체계적 지원.홍보 필요

먼저 한식당의 진출 전략도 정부차원에서 정보집약적인 사령탑이 있어야 하고 이민 역사와 함께 했으면서도 아직 우리끼리만 돌고 도는 한국음식의 발전과제는 태국처럼 정부차원의 지원과 이미 성공한 기존 한식브랜드 운영자들은 현지 성공스토리를 적용한다면,시작은 미약하나 미래는 밝을 것이다.

또한 육류중심인 식단에 튀기는 조리법을 사용한 고칼로리의 서양식에 비해 채소류, 해산물·어류를 주로 사용하는 저칼로리의 기능성 음식, 김치나 장류의 발효식품 등이 웰빙 트렌드, 슬로우 푸드에 부합하는 건강식이라는 이미지를 그들에게 각인시키고. 이를 적극 트랜드화하고 시장화 하여야할것이다.

특히 최근들어 음식 메뉴에 푸드스타일링을 원하고,향(Flavor)을 즐기고 보고,느끼 는 음식에도 민감한,70%의 고객들이 집에서 먹는 음식의 연장을 원하고있는 실정임을 참고로 하여야 할것이다.

마지막으로 미국인들은 인테리어에도 무척 민감하다고 한다.불행스럽게도 한국의 음식점 대부분이 실내 인테리어와 거리가 멀다.LA한인타운의 상당수가 아직 촌스럽고 개량되지않은 시설과 환경하에 있다. 지금은 많이 개선되었지만,한식당 화장실은 정말 사각지대인 경우가 많았다.

대부분의 이민자들은 이민당시의 기준점에서 생각이 멈추어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자연환경이 많은 미국에서는 거의 찾아보기 힘든 고전전통 한옥풍이나 나무를 실내 인테리어로 적용하는 자연친화적인 발상도 생각해 볼만하다 하겠다.

미국시장 공력 본격화

결론적으로 이와 같이 한식의 세계화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한식이 해외로 활발히 진출하지 못하는 이유는 체계적인 관리나 지원, 홍보의 부족과 전문인력의 부족을 들 수 있겠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 국내 외식산업이 해외로 활발히 진출하기 위해서는 첫째, 한식을 국가차원의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하는 방법과 둘째,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시스템 구축, 셋째, 식품산업의 연구개발비를 증가하여 해외에서 건강식으로 인정받고 있는 한식의 이미지에 맞춰 다양한 상품을 개발해야 하고 메뉴와 인테리어, 서비스를 현지에 식문화에 맞춘 작업을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해외에 한식 체험관을 설립하여 우리 음식을 시식,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인지도를 높여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