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슈 브리핑] 탄핵 악몽...8년 전 라면.맥주.치킨 등 줄줄이 올랐다

박근혜 탄핵 당시 소비자심리 위축.소비자물가지수 악화
2016.2017년 역대급 자영업자 폐업률 기록...'사업 부진'
당시 농심.롯데칠성음료.삼양라면.BBQ 등 줄줄이 가격↑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 표결을 앞둔 가운데, 식품.유통업계가 매출 타격에 노심초사하는 분위기다.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지난 2016년 12월 이후 한국 사회와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8년 전 식품.유통업계는 소비 한파를 겪었다. 탄핵 정국과 관련된 불확실성으로 인해 소비 심리가 위축됐다. 특히 외식 소비가 감소하며 식품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당시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경기가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비관적'으로 돌아섰다. 소비심리는 감소했고, 체감물가는 상승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2016년 11월 95.8으로 전월 대비 6.1포인트 하락했다.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12월에는 94.2, 2017년 1월은 93.3까지 하락하며 2009년 3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CCSI가 100을 기준으로 100보다 높은 수치가 나오면 소비 심리가 낙관적, 100보다 낮은 수치가 나오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헌법재판소가 탄핵을 선고한 3월 이후 4월이 되서야 101.2로 상승했다. 탄핵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 등이 소비 심리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소비자물가지수도 악화됐다. 2016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1.56으로 전월대비 0.1% 상승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3% 상승했다. 외식 분야는 오름세를 유지했고, 농축산물 역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자영업자 폐업률도 증가했다. 국세청에 따르면 2017년 과세당국에 폐업 신고를 한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는 총 90만8076명으로, 2016년 90만9202명에 이어 2년 연속 90만명대를 이어갔다. 주된 폐업 사유는 사업 부진이였다. 지난해에도 98만6487명으로 전년 대비 약 12만명 증가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정공백 틈타 꼼수 인상"...라면.맥주.치킨 등 가공식품 가격 줄줄이 올라


일부 식품업체들은 국정공백을 틈타 제품 가격을 인상해 '꼼수 인상'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정부는 물가 관리가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2016년 12월 농심을 시작으로 1월 맥도날드, 2월 버거킹과 동원F&B, 5월 CJ푸드빌과 삼양라면, 롯데칠성음료, 6월 KFC와 BBQ 등이 차례로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 


농심은 신라면 등 12개 제품 가격을 평균 5.5% 인상했고, 삼양식품도 삼양라면·불닭볶음면·맛있는라면·나가사끼짬뽕 등 12개 제품 가격을 평균 5.4% 인상했다. 동원F&B는 '동원참치 라이트스탠다드'를 포함한 살코기 및 가미캔 제품 18종의 가격을 평균 5.1% 올렸다. 또한 BBQ에 이어 교촌치킨도 가격을 인상하면서 치킨 가격 2만원 시대가 본격화됐다.


편의점업계 '씁쓸한 특수'...촛불집회 인근 점포 양초.건전지.삼각김밥 매출 상승


편의점 업계는 때아닌 특수를 누렸다. 2016년 10월 말부터 시작된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촉구 촛불집회는 서울 광화문 일대를 중심으로 매주 토요일마다 대규모로 열렸다. 이로 인해 해당 지역의 편의점 매출이 크게 증하했다.


당시 서울 광화문 일대 GS25 20개 점포의 간편식, 티슈, 종이컵 등의 매출은 전년 대비 최소 37%에서 최대 3.9배까지 증가했다. CU 광화문 인근 점포들도 양초, 건전지, 삼각김밥 매출은 1년 전보다 각각 79%, 22%, 33% 증가했다. 쌀쌀한 날씨에 핫팩도 32% 많이 팔렸다.


이러한 편의점 매출 증가는 같은 기간 소비 심리 위축으로 매출이 감소한 백화점 등 다른 유통업체들과 대조를 이뤘다. 롯데백화점 서울 소공동 본점은 토요일 촛불집회가 있었던 11월 26일 매출이 전년 대비 11.1% 감소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정국 당시 전반적인 경제와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면서 가계소비가 줄어들었다"며 "비상계엄 사태에 이은 탄핵정국이 본격화되면 소비심리가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