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서울시내 커피‧음료점업 연평균 16.7% 증가


서울의 음식·음료업 중 커피·음료점업이 연평균 16.7%로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구원(원장 이창현)은 26일 통계청의 2008년과 2011년 기준 사업체 기초통계 조사자료를 이용해 서울시 커피·음료점업 현황을 분석한 제74호 인포그래픽스 ‘서울의 음식·음료업 중 무엇이 가장 크게 증가했나?’를 발간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8년부터 2011년동안 서울의 ‘음식‧음료업’ 중 ‘커피·음료점업’이 연평균16.7%로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 기간동안 서울 전체 ‘음식‧음료업’은 연평균 1.69% 증가하였으며, 가장 크게 증가한 것은 ‘커피·음료점업’, 그 다음으로는 ‘외국식 음식점업’이 15.0%, ‘기타 음식점업’이 14.3%, ‘치킨 전문점’이 7.5% 순으로 증가했다.

이밖에도 2011년에는 서울의 ‘커피·음료점업’은 ‘강남구’에 가장 많았으며,  ‘용산구’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해 서울의 ‘커피·음료점업’은 총 9,399개로, 그 중 가장 많은 1,128개(12.0%) 사업체가 ‘강남구’에 입지하고 있었는데, ‘커피·음료점업’이 많은 자치구는 주로 회사들이 밀집되어있고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서울 모든 자치구의 ‘커피·음료점업’은 증가하였으며, ‘용산구’는 연평균 28.1%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마포구’는 사업체 수와 연평균 증가율 모두 자치구 중 3순위로, 이미 사업체 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연평균 25.7%씩 증가하는 추세였다.

특히 ‘마포구’는 사업체 수와 연평균 증가율이 모두 높으며, 대학이 위치한 서교동에 대부분의 사업체(372개)가 밀집돼 있었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최근 서울 시민들은 커피와 차를 많이 선호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


서울연구원 박희석 서울경제분석센터장은 "최근 서울의 비알콜음료점인 커피전문점 등이 빠르게 증가하는 반면 알콜음료점이 감소하고 있다"며 "이 같은 변화가 서울시민의 소비패턴을 반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