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축산업계가 정부의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안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회장 오세진)는 10일 성명서를 내고 “환경부가 제시한 축산업 부문 감축 목표는 산업 현실을 무시한 일방적 정책으로, 식량안보와 농가 생존권을 위협하는 졸속 행정”이라며 즉각적인 재검토를 요구했다. 협의회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 6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열린 ‘2035 NDC 대국민 공청회’에서 **축산업 부문 온실가스 감축률을 (1안) 50~60%, (2안) 53~60%**로 제시했다. 이는 일반 산업보다 1~2%p 높은 수준이다. 협의회는 “축산업계도 탄소중립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가축 사육두수를 기준으로 한 Tier 1 방식으로는 현실적 감축이 불가능하다”며 “현재 농가의 20% 감축은 곧 20% 폐업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축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비중은 2022년 기준 국가 전체의 1.58%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 산업보다 높은 감축률이 부과된 데 대해 협의회는 “형평성과 실현 가능성을 모두 잃은 정책”이라며 “산정 기준도 마련하지 않은 채 목표만 던지는 것은 탁상행정의 전형”이라고 비판했다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정부가 계란 중량규격 명칭을 국제표준 방식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자, 축산업계가 “충분한 논의와 검토가 필요하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는 24일 성명을 통해 “계란 중량규격 명칭 변경은 단순한 표기 문제가 아니라 산업 운영 전반과 소비자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안”이라며 “정부는 일방적 추진을 중단하고 생산자·유통업계·소비자·학계 등이 참여하는 공청회를 통해 충분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오는 10월 발표할 '축산물 유통구조 개선 방안(가칭)'을 통해 현행 중량규격(왕란·특란·대란·중란·소란)을 국제표준 방식(XXL·XL·L·M·S)으로 바꾸고, 난각 표시도 기존 ‘판정’ 대신 1+, 1, 2등급으로 개편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기존 명칭이 소비자에게 직관적이지 않고 혼동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이유로 개편 필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업계는 현장의 현실과 비용 부담을 우려한다. 협의회는 “이미 기존 규격에 맞춘 생산·포장·판매 시스템이 정착돼 있어 명칭 변경 시 포장재 교체, 유통 안내 수정, 소비자 홍보 등 추가 비용과 혼선이 발생할 수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