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국내 식품업계가 웰에이징과 저속노화 트렌드에 맞춰 ‘저당(低糖)’ 시장을 미래 성장축으로 키우고 있다. 음료·빙과를 넘어 소스·장류 등 밥상의 기본 식재료까지 저당 제품이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대체감미료 산업의 성장과 식품기업의 독자적 저감 기술이 결합하며 ‘맛은 그대로, 당은 줄인’ 제품이 본격적으로 시장을 견인하고 있다. 1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국내 저당 식품 시장 규모는 2016년 903억원에서 2022년 3000억원대로 성장했으며, 업계는 올해 4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저당소스’ 검색량은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해 소비자 관심이 음료·간식을 넘어 식탁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2024년 식품산업 생산실적’에서도 이러한 흐름이 확인된다. 지난해 전체 식품산업 생산액은 114조8252억원으로 5.8% 늘었는데, 이 가운데 ‘슈거제로’ 제품 생산액은 5726억원으로 전년 대비 20.1% 급증했다. 저당 제품 확산의 배경에는 대체감미료 산업의 성장도 자리한다. 알룰로스와 스테비아 같은 차세대 감미료는 설탕 대비 칼로리가 크게 낮으면서도 단맛은 유사해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건강 챙기려면 홍삼?”은 옛말. 2024년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 소비자 선택은 ‘비타민·무기질’로 기울었다. 관련 제품 생산액은 5,461억 원으로 전년 대비 24.4% 급증하며, 1위 자리를 지켜온 홍삼(4,592억 원)을 처음으로 앞질렀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와 식품안전정보원(원장 이재용)은 29일, 2024년 국내 건강기능식품(이하 건기식) 생산실적이 2조 7,618억 원으로 전년(2조 7,585억 원) 대비 0.1% 증가했다고 밝혔다. 수출 실적은 2억 7,864만 달러로 전년 대비 12.2% 늘며 2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의 생산액은 5,461억 원으로 전년 대비 24.4% 증가하며 부동의 1위였던 홍삼(4,592억 원)을 제치고 생산실적 1위에 올랐다. 제형 측면에서도 정제와 액상을 함께 담은 이중제형 등 포장 편의성을 높인 제품군의 소비가 확대되며 수요를 견인했다. 이 같은 변화는 수출 증가로도 이어졌는데,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 수출액은 7,304만 달러로 58.0% 급증했다. 건기식 주요 기능성별 실적도 주목할 만하다. 혈행 개선(1조 1,651억 원)과 기억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국내 식품산업이 2024년에도 두 자릿수 수출 성장률과 함께 ‘헬시플레저(Healthy-Pleasure)’ 트렌드를 중심으로 한 제품 다변화에 성공하며 꾸준한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와 식품안전정보원(원장 이재용)은 29일, 2024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을 발표하고 총생산 114조 8,252억 원(5.8%↑), 총수출 72억 5,915만 달러(10.0%↑)로 전년 대비 뚜렷한 증가세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식품산업은 국내 제조업 총생산(684조 원)의 16.8%, GDP(2,549조 원)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산업 내 구성은 ▲식품 및 식품첨가물·포장재 등 64.7%, ▲축산물 32.9%, ▲건강기능식품 2.4%로 나타났다. 즉석식·소스·빵 생산 증가…간편식품 수출도 동반 상승 2024년 가장 높은 생산실적을 기록한 가공식품 품목은 ▲즉석섭취·편의식품류(5조 8,859억 원), ▲소스류(4조 9,555억 원), ▲빵류(3조 7,527억 원) 순으로, 작년과 동일한 순위를 유지하며 간편식 위주의 수요 확대 흐름을 반영했다. 수출 부문에서는 라면, 즉석섭취식품, 조미김 등 주요 품목 모두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