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추석을 일주일 앞둔 제수용품 구입 비용이 4인 가족 기준 평균 32만 2752원으로, 3주 전 조사보다 2.3%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 조사와 비교해도 3.9% 하락해 소비자 부담이 다소 완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대형마트에서는 전년 대비 가격이 오히려 3.2% 올라 정부의 명절 할인지원 취지가 무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문미란) 물가감시센터는 9월 29~30일 서울 25개 구 90개 시장·유통업체(백화점 11곳, 대형마트 25곳, 기업형 슈퍼마켓(SSM) 19곳, 일반 슈퍼마켓 19곳, 전통시장 16곳)를 대상으로 추석 제수용품 24개 품목 가격을 조사한 결과를 1일 발표했다. 3주 전 대비 시금치·대추 큰 폭 하락, 배는 급등 조사 결과, 24개 품목 중 16개 품목이 하락했다. 특히 시금치는 400g 기준 1만2572원에서 9067원으로 27.9% 떨어져 하락 폭이 가장 컸고, 대추(-13.1%), 식용유(-11.0%), 돼지고기 뒷다리(-11.0%) 등도 두 자릿수 하락률을 기록했다. 반면 배는 3개 기준 1만2221원에서 1만3802원으로 12.9% 상승해 상승폭 1위를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양수 의원(강원 속초·인제·고성·양양)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카드사 포인트 소멸액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5년 상반기 기준 8개 카드사(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하나·우리·BC)의 포인트 소멸액이 365억 원에 달했다고 12일 밝혔다. 2025년 상반기 카드사별 소멸액은 현대카드 102억 원, 하나카드 70억 원, 국민카드 58억 원, 삼성카드 47억 원, 우리카드 40억 원, 신한카드 29억 원, 롯데카드 18억 원, BC카드 50만 원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현대·롯데·BC카드는 제휴 포인트 내역이 미제공 돼 집계에서 제외되었으므로 실제 소멸 규모는 이보다 더 클 가능성이 있다. 2021년부터 2024년까지 포인트 소멸액은 3,160억원에 달하는데, 연도별로는 2021년 808억 원, 2022년 832억 원, 2023년 803억 원, 2024년 717억 원 등 매년 평균 800억원 가량이 소멸되고 있다. 반면에 포인트 적립액은 2021년 3조 904억 원에서 2024년 5조 9,437억 원으로 3년 사이 92%(2조 8,533억 원) 증가했으며, 2025년 상반기 적립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