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국내 대표적인 외식 전문가이자 방송인으로 활동 중인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를 둘러싼 방송 외압 의혹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MBC 교양국 출신 김재환 PD는 13일 유튜브 채널 ‘스튜디오 오재나’를 통해 백 대표와 관련된 출연자 하차 논란과 방송 외압 정황을 공개했다. 김 PD는 백 대표가 PD 한경훈과 함께 제작한 JTBC ‘양식의 양식’과 ‘도민의 승부 – 이기면 쏜다’ 등에서 동일한 A교수가 잇달아 출연을 취소당했다는 사실을 전하며, 복수의 제작진 증언과 교수 본인의 이메일 답변을 근거로 제시했다. 특히 논란의 시작은 SBS ‘골목식당’ 막걸리 편이었다. 당시 백 대표는 방송에서 12종의 막걸리 맛을 모두 맞히는 장면으로 ‘절대 미각’ 이미지를 부각했지만, A교수는 “국내 최고 전문가들조차 그건 불가능하다고 본다”는 의견을 자신의 SNS에 조심스럽게 남겼다. 이후 A교수는 프로그램에서 하차 통보를 받았고, 김 PD에 따르면 제작진이 직접 찾아와 사과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이어 백 대표가 출연하지 않은 JTBC 프로그램에서도 A교수가 촬영 직전 하차 통보를 받았으며, 이 역시 백 대표의 개입 때문이라는 증언이 있었
[푸드투데이 = 황인선.홍성욱 기자] 국내 '분유' 시장 강자, 엄마들의 두터운 신뢰를 받으며 성장한 남양유업이 끝없이 추락하고 있습니다. 국내 '1호 갑질 기업'이라는 꼬리표를 떼기도 전에 오너 리스크에, 과장광고까지. 최근까지 3번의 대국민 사과가 있었습니다. 결국 홍원식 회장은 남양유업 회장직에서 물러나기로 했습니다. 그래도 성난 민심은 쉽사리 수그러들지 않고 있죠. 일련의 남양유업 사태를 보면 ‘명성을 쌓는 데는 20년이 걸리지만 잃는 데는 5분도 걸리지 않는다." 세계적인 기업가이자 투자가인 워런 버핏의 말이 생각납니다. 식품업계 오너 일가의 대국민 사과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죠. 최근 논란이 된 남양유업부터 몽고식품, 미스터피자, 내추럴엔도텍, CJ푸드시스템(현 CJ프레시웨이) 등 심심치 않게 반복되고 있습니다. 1. 남양유업 홍원식 회장 "모든 것을 책임지고 물러나겠습니다" 1964년 설립 이래 '분유' 강자로 통하며 국내 분유시장 1위를 놓치지 않을 만큼 엄마들 사이에서 높은 신뢰를 쌓았습니다. '고품질 분유'로 분유하면 '남양'이 대명사이였던 시절이 있었죠. '프렌치카페 커피믹스'의 돌풍으로 국내 커피믹스 시장을 장악한 동서식품을 위협하는 등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홍원식 남양유업 회장이 '불가리스 코로나19 마케팅' 사태와 2013년 회사의 밀어내기 사건, 외조카 황하나에 대한 논란까지 모두 사과했다. 홍 회장은 4일 서울 논현동 남양유업 본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모든 것에 책임을 지고자 저는 남양유업 회장직에서 물러나겠다"며 "자식에게 경영권도 물려주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는 "온 국민이 코로나로 힘든 시기에 당사의 불가리스와 관련된 논란으로 실망하고 분노하셨을 모든 국민들과 현장에서 더욱 상처 받고 어려운 날들을 보내고 있는 직원 대리점주 및 낙농가에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밝혔다. 이어 "국민의 큰 사랑을 받아왔지만 제가 회사의 성장만을 바라며 달려오다 보니 구시대적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소비자 여러분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던 것 같다"며 "2013년 회사의 물량 밀어내기 논란과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외조카 황하나 사건 등 논란들이 생겼을 때 회장으로서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나서서 사과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했어야 했던 것"이라고 읍소했다. 홍 회장은 "이 모든 것에 책임을 지고자 남양유업 회장직에서 물러나고 자식에게도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겠다"고 밝혔다. 앞서, 남양유업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종회의원(전북 김제·부안)은 10일 수협중앙회가 ‘어업용 기자재 및 선수물자 공급사업’을 하면서 공급업체로부터 과다한 중개수수료를 요구하는 등 갑질을 해왔다고 지적했다. ‘어업용 기자재 및 선수물자 공급사업’은 어업인들이 개별적으로 어업용 기자재를 구입하려면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하기 때문에 수협이 어업인과 공급업체를 연결해 주며 공동구매를 통해 가격 절감 효과를 내겠다는 취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수협은 공급업체로부터 적게는 3%, 많게는 5%의 중개수수료를 받아가고 있다. 서울시가 책정한 주택의 중개수수료가 0.4~0.6%에 불과한 점을 감안하면 수협의 중개수수료는 열배나 높다. 수협이 최근 5년간 어업용 기자재 및 선수물자 공급사업자로부터 받은 금액은 15년 34억원, 16년 44억원, 17년 42억원, 18년 42억원, 올 8월말 현재 25억원 등 무려 187억원이 넘는다. 공동구매를 통해 어민들은 2% 할인을, 제조업체의 평균 이윤은 1.5%임을 감안할 때 수협이 받는 중개수수료 3~5%는 과하다는 지적이다. 업체 관계자들은 수협이 가져가야 할 적정 커미션은 1~2%라는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