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박완주 의원, 대기업 동반성장 파수꾼 역할

◆ 중소기업 전용 홈&쇼핑, 대기업·수입제품만 선호
◆ 대형마트 의무휴업, 중소마트 매출에 영향
◆ 가맹점주, 편의점 매출이익의 35% 수수료 부과

푸드투데이 선정 '2012년 19대 국회 국정감사 우수의원' (15)
지식경제위원회 박완주 의원 (민주통합당/충남 천안시 을)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박완주 의원(민주통합당/충남 천안시 을)은 2012년 19대 국회 국정감사에서 중소기업 제품의 판로확대를 위해 개국한 홈&쇼핑이 개국 이래 중소기업 제품의 편성비율을 축소하고 대기업, 수입품을 판매하는 시간을 늘려왔다고 지적했다. 또 대형마트 의무휴업의 효과와 편의점 가맹점주의 수수료 부담 문제들을 질의했다.

◆ 중소기업 전용 홈&쇼핑, 대기업·수입제품만 선호
박완주 의원은 중소기업 제품의 판로를 확대하자는 취지로 개국한 중소기업전문 쇼핑채널인 홈&쇼핑이 지난 1월부터 9월까지 지속적으로 중소기업 제품의 편성비율을 축소하고 대기업·수입품을 비중을 점차 확대해 정작 중소기업은 홀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소기업중앙회(33%), 농협(15%), 중소기업진흥공단 출자기업 중소기업유통센터(15%)가 지분을 가지고 있는 홈&쇼핑은 지난해 6월 방통위로부터 채널승인을 받아 지난 1월 '중소기업 전용 홈쇼핑'으로 개국했다.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개국 첫달 93%에 달했던 중소기업 판매제품율이 8월에는 70%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기업제품의 편성비중은 1월기준 4.9%에서 7월에는 16%까지 치솟았고, 수입제품도 1월기준 2%에서 8월에는 6%대까지 올랐다.
 
박완주 의원은 "대기업 제품의 편성을 확대하고, 잘 팔리는 시간대에 수입 명품가방을 배치하는 것이 대한민국 중소기업 제품의 판로확대에 기여하는지 의심스럽다"며 "중소기업 판로개척이라는 당초 개국의의를 잊지 말고 정부차원에서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 대형마트 의무휴업, 중소마트 매출에 영향
박 의원은 서울의 한 소형 할인마트 일 평균 매출액이 220만원이었는데 인근에 홈플러스 익스프레스가 생긴 후 90만원으로 하락했다고 소개했다.

박 의원은 기업형 수퍼마켓(SSM) 영업규제가 이뤄지고 나서 주말 매출이 180만원으로 다시 올랐지만 8월에 일요일 영업이 재개되자 다시 90만원으로 폭락했다면서 "대형마트와 SSM의 영업을 규제하는 게 효과가 있다"고 의견을 표명했다.

이와 관련, 최근 지식경제부가 시장조사업체 AC닐슨에 의뢰해 대형 유통업체 영업규제의 효과를 파악한 결과 크게 도움이 안 된다는 중간 조사 결과가 나왔는데, 이는 용역 주체와 시기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 가맹점주, 편의점 매출이익의 35% 수수료 부과
박 의원은 지식경제부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해, 미니스톱·세븐일레븐·CU(옛 훼미리마트) 등의 각 본사는 해당 가맹점으로부터 지난해 매달 매출이익의 35%를 수수료 명목으로 받아 챙겼다고 밝혔다.

또 박 의원은 중소기업청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해, 홈플러스 익스프레스가 기업형 슈퍼마켓(SSM) 가운데 매장 주변의 골목상권 상인들로부터 가장 많은 반발을 샀다고 지적했다.

2009년부터 올 9월까지 SSM에 대한 사업조정신청 중 홈플러스 익스프레스에 대한 조정신청이 44%인 176건으로 가장 많았다고 9일 밝혔다. 롯데슈퍼는 92건(23%), GS슈퍼는 56건(14%)이었다. 

사업조정신청 제도는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중소기업의 심각한 경영상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 기간 대기업의 사업인수와 개시·확장을 유예하거나 사업축소를 대·중소기업이 자율적으로 합의하도록 정부가 중재하는 제도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