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적합 식품으로 적발돼 회수처분을 받은 식품 대부분이 그대로 식탁에 올라 국민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유재중 의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회수대상 위해식품 회수율 현황(2006~2010.6)’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적발된 부적합식품의 평균회수율이 24.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유 의원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2006년 이후 식약청에서 회수명령을 내린 부적합식품은 2006년 45건, 2007년 106건, 2008년 227건, 2009년 325건, 2010년 6월 200건으로 해마다 크게 증가해 총 903건에 달한다.
제조·수입량으로 환산하면 2006년 84만8116kg, 2007년 156만5660kg, 2008년 263만2256kg, 2009년 245만1374kg, 2010년6월 68만6299kg 규모다.
유재중 의원은 “회수되어야 할 물량 총 818만3705kg 가운데 실제 회수된 물량은 198만8937kg로 조사됐다”며 “약 76%에 해당되는 619만4768kg의 부적합 식품은 고스란히 국민식탁으로 올라간 셈이다”라고 밝혔다.
훨씬 방대한 지역과 식품을 관리하는 미국 FDA의 식품회수율은 평균 36%로 알려져 있다는 것에 비하면 현저히 낮은 수치다.
적발된 부적합 식품 중에는 과자류, 캔디류와 같이 어린이들이 즐겨찾는 선호식품도 다수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어린이 선호식품(과자류, 캔디류, 사탕류, 빙과류, 쥐포류, 젤리류, 빵류로 한정)의 적발건수도 2006년 4건에서 2007년 13건, 2008년 59건, 2009년 45건, 2010년6월 13건으로 증가세에 있다.
그러나 어린이 선호식품의 회수율 역시 평균 27.8% 수준에 머물러, 어린이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재중 의원은 “부적합 식품의 회수율이 저조한 이유는 식품당국이 식품위생법 위반을 근거로 회수명령을 내린 뒤, 해당 위반업소 영업자로부터 회수계획과 결과를 서면자료를 통해서 보고받을 뿐 제대로 된 현장확인 절차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라며 대책마련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