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풀무원-CJ, 두부전쟁 '갈수록 태산'

포장두부 시장 1위와 2위를 차지하고 있는 풀무원과 CJ제일제당의 신경전이 2라운드에 접어들었다.

풀무원은 지난달 31일 CJ의 생산방식이 자사의 '가마솥 방식'과 다른 '전극판 강제 응고 방식'이라며 전극판 부식 위험을 강조하는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풀무원 측에 따르면 '전극판 강제응고 방식'은 1970~80년대 일본과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되곤 했지만, 전류로 인한 자기장과 전극판의 부식이라는 위험성이 있어 일본은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1990년대 이후부터는 거의 사라진 오래됐다는 설명이다.

풀무원 관계자는 "'전극판 강제응고 두부'는 전극판 부식 등의 위험성이 있어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폐기된 방식" 이라며 "두유에 고압전류를 흘려보내므로 전자파도 야기할 수 있지 않느냐는 우려도 일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풀무원은 천연간수(무화학응고제)를 넣어 천천히 응고시키는 '가마솥 방식'으로 두부를 생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CJ는 "자사의 두부생산방식에 대해 의도적으로 허위 사실을 유포하고 비방하는 것"이라고 일축하고 법적 대응까지 불사할 기세다.

CJ의 두부생산방식은 우리나라에서 1970~1980년대에 사용한 사례가 없으며 전극판의 경우 치아교정용으로도 쓰이는 티타늄 소재를 사용하고 있어 부식에 강해 매우 안전하다는 설명이다.

또 이 방식은 일본뿐만 아니라 미국 캠벨사의 경우 2000년대 중후반 도입해 프리미엄 제품을 만드는데 사용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일본의 경우 두부점유율 2위 업체인 태자식품은 물론, 소소, 장류업체에서도 이 설비를 도입해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는 것이다.

CJ 관계자는 "최근 풀무원 두부제품의 시장점유율이 떨어지면서 위기의식을 느낀 나머지 경쟁사 비방을 통해 시장점유율을 회복하고자 하는 의도로 밖에 해석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앞서 CJ와 풀무원은 두부에 기름을 넣는 문제로 공방을 벌였다. CJ는 지난 7월부터 배우 고소영이 등장해 “두부는 콩과 간수로 만든다고 알고 있는데 기름이 왜 들어가요”라고 말하는 ‘행복한 콩 두부’ TV 광고를 내보냈다.

이에 풀무원은 “두부에 기름은 극소량 들어가고 인체에 해롭지 않을 뿐더러 건강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포장두부는 일정한 모양을 유지하기 위해 기름을 사용한다는 설명이다.

CJ는 “초등학교 교과서에도 ‘두부는 콩과 간수로만 만든다’고 돼 있지 기름을 넣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풀무원은 “1954년 발간된 청구문화사의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을 보면 전통 두부 제조법에 거품이 나는 것을 막기 위해 참기름이나 돼지기름을 사용했다고 한다”고 다른 주장을 펼쳤다.

두 기업은 2006년 두부에 들어간 소포제(두부 거품 제거제)와 유화제(두부 응고 속도 조절제) 사용을 둘러싸고 안전성 공방을 펼쳤고, 2008년엔 어떤 간수를 사용하느냐를 놓고 신경전을 벌인 바 있다.

한편 시장조사기관 닐슨 자료에 따르면 두부시장 1위인 풀무원의 7월 점유율은 49.7%로 6월 51.7%에서 2%포인트 떨어진 반면 2위인 CJ의 7월 점유율은 지난 6월 24.3%보다 2.6%포인트 상승한 26.9%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