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10일 식품위생업소 통합점검과 인터넷 자율점검제 현장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식품위생업소 상반기 통합점검 결과 규정위반율이 4.9%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3년간 평균위반율 6.8% 보다 낮아진 수치다.
위반 내용을 살펴보면, 시설기준 위반, 영업자 준수사항 위반, 건강진단 미필 사항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위의 업소에 대하여는 시설개수명령, 영업정지 및 과태료 등의 행정처분을 실시했고 이들 업소는 중점관리업소로 지정하여 수시 출입점검 등 위생관리를 강화하도록 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인터넷 자율점검제’를 잘 이행하고 있는지 성실점검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5월~6월, 각 자치구에서 현장점검을 실시한 결과 자율점검 이행업소가 미참여업소보다 규정준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업소 및 미참여업소 중 현장점검을 통해 위반여부를 점검한 결과, 참여업소는 상반기 규정위반율(4.9%)보다 낮은(3.5%)것으로 나타나 영업주 스스로 규정을 준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미참여업소는 여전히 위반율(20%)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이러한 제도개선에도 규정을 위반한 업소에 대해서는 신속한 행정처분을 실시함과 동시에 처분사항을 인터넷 등에 공표하고 규정위반사항이 개선될 때까지 출입점검 등 특별관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인터넷 자율점검제에 성실히 참여(연4회/분기별)한 업소에 대하여는 참여일로부터 1년간 출입점검을 유예하도록 하여 성실참여 영업주에 대해 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이고, 영업주의 성실점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자율점검 이행업소 중 임의로 대상업소를 선정 출입점검을 실시하고 미참여 업소 등은 특별 현장점검을 실시해 실효성을 높일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상반기 현장점검결과 식품위생업소 영업주들의 위생의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시민들의 먹거리 안전을 지키기 위해 앞으로도 관리를 철저히 해 식품위생 사각지대를 없앨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