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17 국감] '소주보다 맥주가 좋아'...10년간 주류에 붙은 세금 30조원 육박

박광온 의원, ‘주류 출고량 및 과세표준 현황’자료 분석 결과 발표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최근 10년간 주류에 붙은 세금이 총 28조 3566억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의 ‘주류 출고량 및 과세표준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07~2016년 연평균 주세는 2조 8,356억원으로 확인됐다.


주세는 2007년 2조 5227억원에서 2014년 3조원을 돌파했으며 지난해 역대 최대치인 3조 2375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갱신했다.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주종은 맥주로 46.7%였으며, 지난 10년간 전체 주세의 절반에 가까운 13조 2372억원을 기록했다. 희석식 소주는 103568억원(36.5%)으로 뒤를 이었다.


또 수입분 3조 1,954억원(11.3%), 위스키 4,456억원(1.57%), 과실주 2,628억원(0.93%), 탁주 1,692억원(0.6%)순이었다.


가장 급격한 증가폭을 기록한 것은 수입분으로 2605억원에서 4471억원으로 71.6% 급증했다. 희석식 소주와 맥주도 각각 33.6%(9,073억원→1조 2,120억원)와 26.5%(1조 1241억원→1조 4221억원)로 증가했다. 반면 위스키는 1170억원에서 지난해 110억원으로 급격히 줄었다.


하지만 과실주 등이 포함된 리큐르는 같은 기간 45억4500만원에서 356억6800만원으로 늘어났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