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설 3주 전 제수용품 구입 비용 평균 30만717원...전년 대비 4.9%↑

전통시장 제수용품 평균 24만원 수준으로 가장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
과일류 31.7% 상승, 단감 48.0%로 최근 7년간 가격상승률 중 가장 높아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남인숙) 물가감시센터는 설을 맞아 서울 25개 구의 90개 시장 및 유통업체에서 설 제수용품 25개 품목에 대해 설 3주 전인 1월 18일~19일 이틀간 1차 조사를 실시한 결과, 설 제수용품 구입비용 4인 기준 평균 30만717원, 전년 대비 4.9% 상승했다고 22일 밝혔다.


설 제수용품 구입비용 4인 기준 평균 30만원대, 백화점 제외 유통업체 평균 비용 27만원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설 제수용품 24개 품목 평균 구입 비용은 4인 기준 30만717원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설 물가 1차 조사와 비교하면 4.9% 상승한 것이다. 유통업태별로 보면 전통시장이 평균 24만4794원으로 가장 저렴하고, 일반 슈퍼마켓이 25만6095원, 대형마트 29만7894원, SSM 30만6775원, 백화점 46만1571원 순이었다. 다른 유통업태에 비해 제품 가격대가 높은 백화점을 제외한 평균 비용은 약 27만6389원이었으며 전통시장과 일반 슈퍼마켓은 약 24~25만 원대, 대형마트와 SSM은 약 29~30만 원에서 제수용품을 구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은 대형마트 보다 가공식품을 제외한 대부분의 제수용품 가격이 더 저렴했다. 각 품목별로 보면 축산물의 가격 차가 약 2만 7천 원으로 가장 컸고 채소/임산물의 가격도 약 1만 5000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공식품은 대형마트가 더 낮았으나 평균 약 2000원 정도 낮은 수준이었다. 반면 매년 가격 상승률이 높은 참조기는 대형마트 보다 전통시장의 가격이 59.1% 더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과일류 31.7%로 가격 상승했으나 축산물은 3.6% 가격 하락해 
               

협의회가 조사한 25개 제수용품 중 지난해 설 물가 1차 조사보다 가격이 오른 제품은 18개 제품이며 하락한 제품은 7개로 나타났다. 그 중 3개의 제품이 30% 이상 높은 가격 상승률을 보였는데, 단감 48.0%, 배 36.1%, 사과 30.8% 순으로 모두 과일 품목이었다. 단감의 경우, 전년도의 폭염과 폭우 등에 따른 작황 부진의 영향으로 공급이 부족한 것이 가격 상승의 주 요인으로 보인다. 배와 사과 역시 생산량 감소가 가격 상승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참조기는 매년 설 제수용품 중 가격 상승률이 높은 품목 중 하나로 올해 역시 전년에 비해 가격이 10.2%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전년에 비해 가격이 하락한 제품은 식용유 -10.5%, 계란 -6.4%, 쇠고기(탕국용, 양지) -6.2%, 시금치 –5.5%, 돼지고기(수육용, 목삼겹) -5.5%, -밀가루 -2.5% 등이었다. 


식용유와 밀가루는 2023년에 가격 상승률이 높은 품목들로 현재 지난 해에 비해 가격이 내려갔으나 예년 수준보다는 높은 상황이다. 계란은 최근 가격이 높아져 7천원대로 판매되고 있으나 대형마트는 전년에 비해 8.2% 하락, 전통시장은 1.6%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업태 중에서는 대형마트가 가장 저렴하게 판매하고 있었다. 
 

품목별 가격 변동을 살펴보면 과일류가 31.7%로 가장 많이 상승했으며, 기타 식품 8.6%, 수산물 6.3%, 가공식품 1.7%, 채소/임산물 1.6% 순이었다. 한편 축산물은 3.6% 하락했는데, 그 중 쇠고기(탕국용, 양지)가 6.2% 하락, 돼지고기(수육용, 목삼겹) 5.5% 하락했다. 


과일류 전년 대비 큰 폭의 가격 상승, 단감 48.0%, 배 36.1%, 사과 30.8% 등 올라


설 명절마다 가격 상승 품목으로 조사되는 과일 품목에 대해 최근 7개년간의 설 1차 기간의 가격 변동을 살펴보면 단감과 배, 사과 모두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특히 23년 대비 24년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을 알 수 있다.


단감(5개 기준)은 23년 6835원에서 24년 1만113원으로 48.0% 올랐으며, 배(3개 기준)는 1만926원에서 1만4866원으로 36.1% 올랐고, 사과(5개 기준) 역시 1만3394원에서 1만7524원으로 30.8% 올랐다. 과거 7개년의 가격 변동 폭 중에서 올해의 가격 상승폭이 가장 큰 것으로, 작년의 작황이 좋지 않았던 영향이 가장 큰 요인일 것으로 보인다. 


과일 같은 품목은 명절에 수요 급증으로 가격 상승이 발생하나 최근에는 작황 부진 등의 원인까지 더해져 상당히 큰 폭으로 가격이 올라가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1차 농수산물은 공급 물량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바 정부의 명절 가격 안정화 정책이 체계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이다. 


협의회 관계자는 "정부 및 유통업체에서 다양한 할인 행사들을 진행할 예정이므로 소비자들이 충분히 정보를 활용해 합리적으로 제수용품을 구매해야 할 것"이라며 "다만, 전통시장에서 할인 혜택을 받는 방법은 제로페이 앱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디지털 이용이 어려운 취약계층을 위한 도움 서비스가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올해도 설 명절 1주 전 조사를 시행하여 3주 전과 1주 전의 가격 비교를 공개하며,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명절 물가가 어떠한지를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