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서울 강서병, 외교통일위원회)은 12일 먹는물 안정성 확보를 위해 '물환경보전법'과 '하수도법' 등 2건의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먼저 물환경보전법을 개정해 신종오염물질의 정의를 신설하고 신종오염물질 지정 및 공개 절차를 마련했다. 현행법은 수질오염으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고 하천·호소 등 공공수역에서 물환경을 적정하게 관리·보전하기 위해 수질오염물질, 특정수질유해물질 및 인체등유해성물질 등의 배출·관리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하천·호소 등 공공수역에서 미량 농도로 잔류하여 주민 건강과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세플라스틱, 과불화화합물(PFAS),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 등의 신종오염물질은 현행 수질오염물질과 특정수질유해물질 목록에 포함되지 않아 제대로 된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에 환경부장관이 하천·호소 등 공공수역에서 미량 농도로 잔류하여 수질과 수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물질을 주기적으로 조사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신종오염물질로 고시하도록 하는 등 신종오염물질의 관리 기준을 마련했다. 다음으로 하수도법을 개정해 신종오염물질 종합정보시스템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유아용 조제분유의 중금속 오염 및 유해물질 검출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Operation Stork Speed(오퍼레이션 스토크 스피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는 최근 컨슈머 리포트가 시중 제품에서 비소, 납, PFAS 등의 유해물질 검출 사실을 발표한 직후 나온 조치로, 유아 건강을 위한 식품 안전 관리 체계가 전면적으로 재정비될 전망이다. 8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미국 FDA는 영유아 식품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인 ‘오퍼레이션 스토크 스피드(Operation Stork Speed)’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소비자단체 컨슈머 리포트가 최근 유아용 분유 41종에 대해 실시한 안전성 조사 결과에 기반하고 있다. 컨슈머 리포트 조사에 따르면 일부 제품에서 유해 수준의 비소(Arsenic)와 납(Lead)이 검출됐고, 과불화화합물(PFAS)과 비스페놀A(BPA),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등 잠재적 유해물질도 일부 제품에서 발견됐다. 보고서는 다만 대부분 제품은 안전 기준을 충족하고 있었으며, 이는 유해물질 저감이 가능한 수준이라는 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