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원장 강석연)은 미국약물정보학회(DIA), 한국규제과학센터와 함께 'DIA 한국 연례회의 2025'를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서울시 용산구 소재)에서 22일과 23일 양일간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DIA(Drug Information Association)는 세계 건강, 보건 향상을 목표로 의약품 개발·허가 관련 콘퍼런스, 교육 과정, 저널 등을 운영하며 전 세계 약 80개국의 회원을 보유한 비영리기관이다. 이번 한국 연례회의는 올해 처음 개최되는 행사로, 국내 및 미국 FDA, 유럽 EMA, WHO 등 해외 규제당국자와 헬스케어 분야 전문가 300여 명이 혁신의약품 개발 촉진을 위한 최신 의견을 공유하고, 아시아 지역의 의료혁신을 모색한다. 연례회의 첫째 날은 ‘미충족 의료 수요에서 새로운 치료방식의 필요성’에 대한 기조연설(연사 : James Wabby, Head of Global Regulatory Affairs, AbbVie)을 시작으로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 ▲세포·유전자 치료제의 최신 규제 동향 ▲임상시험의 국내·외 환경변화 등에 대해 발표와 패널토의가 진행된다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KGC인삼공사가 최근 미국 미시시피주 옥스포드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미국국립천연물연구원(NCNPR, National Center for Natural Products Research) 주관 국제천연물과학회(ICSB,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Science of Botanicals)에서 ‘홍삼 효능과 안전성’이라는 주제로 인삼 학술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미국농무부(USDA), 미국국립과학재단(NSF), 미국국립보건원(NIH) 등 정부관계자와 대학교수, 연구원 등 4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홍삼의 다양한 효능에 대해 과학적으로 입증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국제세미나에서는 미국, 한국의 연구자들이 홍삼의 심혈관 건강, 면역세포 항노화 등 대표적인 효능에 대해 과학적으로 입증한 연구결과와 섭취 안전성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홍삼은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면역력 증진, 혈소판 응집 억제를 통한 혈액흐름 개선, 피로개선, 항산화, 기억력 개선, 갱년기 여성건강, 혈당조절 등 7가지 기능성을 공식 인정받았다. 뿐만 아니라 국내외 연구결과에 따르면 홍삼이 항바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유아용 조제분유의 중금속 오염 및 유해물질 검출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Operation Stork Speed(오퍼레이션 스토크 스피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는 최근 컨슈머 리포트가 시중 제품에서 비소, 납, PFAS 등의 유해물질 검출 사실을 발표한 직후 나온 조치로, 유아 건강을 위한 식품 안전 관리 체계가 전면적으로 재정비될 전망이다. 8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미국 FDA는 영유아 식품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인 ‘오퍼레이션 스토크 스피드(Operation Stork Speed)’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소비자단체 컨슈머 리포트가 최근 유아용 분유 41종에 대해 실시한 안전성 조사 결과에 기반하고 있다. 컨슈머 리포트 조사에 따르면 일부 제품에서 유해 수준의 비소(Arsenic)와 납(Lead)이 검출됐고, 과불화화합물(PFAS)과 비스페놀A(BPA),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등 잠재적 유해물질도 일부 제품에서 발견됐다. 보고서는 다만 대부분 제품은 안전 기준을 충족하고 있었으며, 이는 유해물질 저감이 가능한 수준이라는 점을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2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가 위장약 '잔탁' 등 라니티딘 성분 의약품에서 발암물질(NDMA)이 발견됐다고 발표하면서 이를 복용한 환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식약처는 라니티딘 성분의 원료와 의약품의 제조 및 판매를 전면 중지했으며 해당 의약품을 처방 받은 환자 중에서 안전에 우려가 있을 경우 종전에 처방을 받은 병.의원을 방문해 해당 의약품 포함여부 문의 및 위궤양치료제의 추가 복용 필요성 여부를 의료진과 상담 받을 것을 당부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 14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잔탁에서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DMA)이 검출됐다고 발표하면서 이뤄졌다. 라니티딘은 위벽에서 위산의 분비를 자극하는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의 수용체에 대한 작용을 억제해 위산을 감소시키는 위장약으로 위산의 과다분비로 인한 위궤양, 식도염, 속쓰림 등의 치료에 처방된다. WHO 국제 암연구소(IARC)가 지정한 인체발암 추정물질인 라니티딘은 무엇이며 재처방.재조제 방법 등에 대해 식약처Q&A를 통해 알아본다. Q. 라니티딘은 무엇인가. 라니티딘은 위산과다, 속쓰림, 위·십이지장궤양, 역류성식도염, 졸링거-엘리슨증후군 등을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위궤양치료제나 역류성 식도염 치료제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국내 유통 ‘라니티딘 성분 원료의약품’을 수거·검사한 결과, NDMA가 잠정관리기준을 초과해 검출됐다고 26일 밝혔다. 라니티딘은 위산과다, 속쓰림, 위궤양, 역류성식도염 등 치료약에 사용하는 성분이다. 이번에 검출된 NDMA(N-니트로소디메틸아민)는 WHO 국제 암연구소(IARC)가 지정한 인체발암 추정물질이다.이에 따라 식약처는 ‘라니티딘 성분 원료의약품’을 사용한 국내 유통 완제의약품 전체(269품목)에 대해 잠정적으로 제조·수입 및 판매를 중지하고 처방을 제한하도록 조치했다.식약처는 라니티딘 성분 의약품에서 NDMA가 미량 검출됐다는 미국 식품의약청(FDA)의 발표(9.14) 이후, 국내로 수입되거나 국내에서 제조돼 유통 중인 ‘라니티딘 성분 원료의약품’을 수거해 검사한 결과, 국내 유통 중인 ‘라니티딘 성분 원료의약품’ 7종에서 NDMA가 잠정관리기준(0.16ppm)을 초과해 검출됐다. 7개 제조소 모든 제품에서 검출됐으나 제조단위별로 검출되지 않거나 최대 53.50ppm까지 검출되는 등 편차가 있었다.이에 식약처는 국내 유통 중인 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