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전국 농축협 조합장들이 미국과의 관세협상에서 농산물을 협상 품목에 포함시켰다는 보도에 강력히 반발하며, 농업의 전면 제외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29일 발표한 공동 성명서를 통해 "그간 반복된 시장 개방과 통상 협정으로 농업은 계속 희생되어 왔다"며 "한미 FTA만 해도 농업 관세의 97.9%가 철폐된 상황에서 추가 개방은 식량주권을 무너뜨리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조합장들은 2024년 기준 대미 농축산물 무역적자가 약 80억 달러에 달하는 현실과, 이상기후로 인한 생산기반 약화를 언급하며 "핵심 농축산물의 추가 개방은 농업의 붕괴를 가속화하고 국민 건강까지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날 조합장들은 다음 세 가지 요구 사항을 정부에 전달했다. ▲ 농업을 한미 관세협상 품목에서 전면 제외할 것 ▲ 국민 건강과 직결된 사안은 과학적 근거와 국제 기준에 따라 접근할 것 ▲ 농업계와의 사전 협의 없는 일방적 추진을 중단할 것. 조합장 대표단은 이날 산업통상자원부와 농림축산식품부를 직접 방문해 성명서를 전달하며, “정부가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직시하고 농민에게 더 이상 희생을 강요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조합장들은 “농업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더 이상 농업이 통상 전략의 총알받이가 되어서는 안 된다" 한국농축산연합회, 한국중앙농업단체협의회, 축산관련단체협의회, 농민의길은 오는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한·미 상호관세 협상 농축산물 개방 반대를 외치는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한·미 상호관세 협상에서 농축산물을 협상 카드로 고려하고 있다는 정부의 움직임에 대해, 전국 농축산업계가 반발했다. 이날 농민단체장들은 “현재 우리나라는 미국산 농축산물의 5위 수입국으로, 지난 15년간 수입액이 56.6% 급증하였다.”며, “이는 2012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후 국내 농축산물 관세를 대부분 철폐한 결과라 할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농민 단체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민경천 전국한우협회장은 입장문을 통해 “지금 한우농가는 벼랑 끝에 서 있다”며 “4년째 이어지는 적자에 전체 농가의 12%가 폐업한 상황에서, 30개월령 방어선마저 무너진다면 산업 자체가 붕괴될 수 있다”고 강조했고, "이러한 통상교섭 태도는 농산물 분야도 전략적 판단을 할 때고 농민의 생존권과 국민의 식품안전을 담보로 한 위험한 도박”이라고 말했다. 전국한우협회에 따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