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위원장 어기구)가 13일 전체회의를 열고 2026년도 농식품부 예산안을 심의하는 과정에서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예산 증액을 두고 격론이 벌어졌다.
구체적 계획 없이 간담회 1회당 2500만 원, 연구용역비 4억 원 증액이 반영된 점을 놓고 “근거도 설명도 없는 예산 부풀리기”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날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이만희 의원은 예산결산심사소위원회 보고 직후 “농특위 간담회비가 회당 2500만 원, 총 10회로 잡혀 있다”며 “간담회를 얼마나 뻑적지근하게 하는지 모르겠는데, 1회 2500만 원은 지나치다”고 지적했다.
또한 “연구용역비도 1억 원씩 4건, 총 4억 원을 증액했지만 구체적 계획이나 연구 항목이 제시되지 않았다”며 “정부가 설명도 못한 예산을 그대로 통과시킨 건 납득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이에 강형석 농식품부 차관은 “특별위원회가 현장 의견 수렴과 연구 수행을 위해 필요한 예산을 추가로 편성한 것”이라면서도 “세부 연구계획은 확정 전 단계”라고 답했다.
이만희 의원은 “계획도 없는 연구비를 반영했다면 이는 전형적인 예산 부실 편성”이라고 재차 압박했다.
예결소위를 이끈 더불어민주당 윤준병 의원은 “이 예산은 이전 정부 시절 삭감된 운영비를 정상화하는 차원으로 이해하고 있다”며 “단가나 집행 과정의 논란이 있는 만큼 향후 투명하게 보고돼야 한다”고 밝혔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도별 타운홀 미팅 형식의 현장 간담회로 진행될 예정이며, 현장 의견을 정책화하기 위한 연구용역으로 연계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어기구 위원장은 “농특위의 예산 집행 투명성과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지속되는 만큼, 국정감사 대상기관으로 포함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며 제도 개선 가능성을 시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