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 이하 질병청)은 국내 성인 3명 중 1명이 비만이며, 지역별로는 전남도, 제주도의 비만율이 가장 높고, 세종시가 가장 낮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발표는 질병청이 매년 17개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2024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에는 조사 응답을 기반으로 산출된 비만율이 활용됐다.
국내 성인 비만율은 꾸준히 증가하여, 2024년에는 약 성인 3명 중 1명인 34.4%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10년 전 약 4명 중 1명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할 때, 자가보고 비만율은 약 30.8% 증가한 것으로 남성의 비만율은 41.4%, 여성은 23.0%로 나타나 남성이 여성보다 약 1.8배 높았으며, 남성의 경우 사회생활을 활발히 하는 30대가 53.1%, 40대도 50.3%으로 비만율이 높아 약 2명중 1명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은 고령층인 60대가 26.6%, 70대도 27.9%으로 노년층에서 상대적으로 비만율이 높았다.
또한 비만 인식으로 전체 성인 인구 중 약 2명중 1명인 54.9%가 주관적으로 자신이 비만하다고 답변했고, 비만인 사람들 중에서 자신이 비만하다고 인식한 비율이 남성 77.8%, 여성 89.8%로 대부분은 스스로 비만임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만이 아닌 사람들 중에서도 자신이 비만하다고 인식한 비율이 남성 13.0%, 여성 28.2%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보다 더 실제 체형과 인식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특히 전체 성인 인구 중 약 5명 중 3명인 65%가 체중을 줄이거나 유지하려고 했으며, 체중조절 시도율을 분석한 결과, 비만인 사람은 남성 74.7%, 여성 78.4%로 비만이 아닌 사람들은 남성 42.0%, 여성 64.6%로 비만이 아닌 집단에서도 체중조절 시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약 1.5배 높게 나타났고, 두 집단 모두 고령층으로 갈수록 체중조절 시도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아울러 비만율이 가장 높은 시, 도는 전남도가 36.8%, 제주도도 36.8%였으며, 가장 낮은 시, 도는 세종시가 29.1%로 나타나 광역시, 도별로도 비만율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고, 최근 10년간 시, 도별 비만율 추이를 분석한 결과, 전국 17개 모든 광역시도에서 비만율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남도는 11.4%p 상승하며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으며, 울산시와 충남도가 그 뒤를 이은 반면 세종시는 2.9%p 증가에 그쳐 가장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으며, 대전시와 강원도도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와함께 3개년 평균 시,군,구별 비만율은 충북 단양군이 44.6%, 강원 철원군 41.9%, 충북 보은군 41.4% 순으로 높았고, 경기 과천시가 22.1%, 대전 서구 23.1%, 대구 수성구 23.7% 순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충북 단양군과 가장 낮은 경기 과천시의 비만율 격차비는 약 2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시․도 내에 거주하고 있더라도 각 시,군,구의 비만율은 차이를 보였으며, 시,도내 격차비가 가장 큰 곳은 경기로 1.76이었고, 가장 작은 곳은 1.11인 울산으로 나타났다.
질병청은 전 세계적으로 비만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세계 각국의 비만율은 지난 수십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해 왔으며, 비만은 이제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에서도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에서 남녀 모두 비만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OECD 보건통계에 따르면 국내는 OECD 평균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생활습관 변화와 서구화된 식단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맞춤형 건강관리 정책 강화가 필요하다.
체중감량을 위한 식이조절 방법으로 근소실을 막기 위해 체중 1kg당 하루 1~1.5g 정도의 단백질 섭취가 권장되며, 초저열량식(여성 800kcal/일, 남성1,000kcal/일 미만의 열량섭취)는 영양결핍이 쉽게 초래되기 때문에 권장되지 않으며, 하루 세끼니를 먹되 매 끼니마다 미량원소와 비타민, 식이섬유를 섭취할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의 채소를 섭취하고, 힘을 내서 생활하고 운동할 수 있도록 매끼니 반공기 정도의 잡곡밥을 먹고, 근육량을 유지하기 위해 매끼니 한덩이의 단백질(계란, 생선, 닭고기 등), 약간의 지방을 먹도록 질병청은 권했다.
질병청은 운동은 중강도(숨이차고 땀이 나는 정도)이상의 운동을 주 150분 이상, 근력운동을 주2회 이상하는 것을 권장하고, 개인의 운동능력, 통증정도, 선호도에 맞추어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운동을 고르는 것 효과적이며 이러한 운동은 기분을 환기하고 근감소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임승관 청장은 “최근 비만 치료제 사용이 활발해 지면서 체중 조절, 다이어트 등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비만은 여러 만성질환의 선행질환으로, 비만 관련 인식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통계를 제공하고자 하였다”고 말하면서 “질병청은 앞으로도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비만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건강조사, 국민건강영양조사 등을 통해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의 근거 생산을 강화하는 한편, 일선 보건소에서 근거기반 보건사업 정책수행을 할 수 있도록 만성질환 전문인력 교육(FMTP) 등을 수행하고, 지역 보건 우수사례를 발굴·확산하여 지속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