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차원 최초 시도 큰 의미
한국식품공업협회(회장 박승복)는 한국전자거래협회(회장 서정욱)와 공동으로 4월부터 6월까지 석달간 ‘식품생산이력시스템 적합성 검증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전자태그(RFID)와 이력추적시스템이 차세대 유통혁명의 핵심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시행되는 식품산업 생산이력시스템 시범사업은 민간 차원에서 최초로 시도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특히 최근 제정이 추진되고 있는 식품안전기본법(안)에서 생산이력시스템의 시행을 규정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으로 평가돼 식품업계의 발빠른 행보가 돋보인다.

이번 시범사업은 생산이력시스템을 실제로 제조공장에 적용해 제조공정상의 이력정보의 축적 및 저장, 판독과 관련한 제반사항과 기술적, 경제적 측면을 검토하고 식품제조기업의 입장이 충분히 반영된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시행된다.
또 비대면 거래로 이뤄지는 전자상거래시 소비자와 판매자의 신뢰성 확보와 식품안전사고 발생시 제품의 추적관리를 통해 원인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추진된다.
이 사업의 결과물은 산업자원부 B2B네트워크 구축사업과 연계할 예정이어서 침채돼 있는 식품산업 전자상거래 활성화로까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사업은 (주)CJ 경기도 이천공장(쇠고기 양념장 생산라인)에서 가공이력정보 시스템 검증을 위한 테스트 베드를 지원하며, 기초 원재료 및 1차가공 중간재를 구매해 전자태그를 부착한 후 입고 시점부터 가공 과정을 거쳐 완제품을 만들어 출고하는 단계까지 이뤄진다.
식품공업협회 홍연탁 상근부회장은 “이번 실증실험을 통해 식품업계 특성에 맞는 이력추적관리 시스템을 만들어 이력관리가 어느 정도 까지 가능한지 여부를 가이드라인으로 만들어 식품제조사에 지속적으로 보급, 확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병조 편집국장/bjkim@f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