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2025년 2분기에도 생활필수품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며 소비자 체감 물가 부담이 여전히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문미란) 물가감시센터는 420개 유통업체의 가격조사를 통해 37개 품목 중 28개 품목이 전년 동기 대비 평균 4.9% 상승했고, 특히 맛김·커피믹스·분유·햄·달걀 등 상위 5개 품목의 평균 상승률은 11.0%에 달했다고 16일 밝혔다. 전체 품목 평균 상승률은 3.3%지만, 상위 품목은 그보다 3배 이상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 같은 결과는 최근 원재료 가격과 유통비용 상승, 업체의 반복적인 가격 인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상승률 1위는 맛김…커피믹스·분유도 10%대 인상 가장 큰 폭으로 오른 품목은 맛김(15.8%)이다. 풀무원의 ‘들기름을 섞어 바삭바삭 고소하게 구워낸 파래김’이 18.5%, 동원F&B의 ‘양반 들기름김&올리브김’이 12.8% 상승했다. 커피믹스는 남양유업 ‘프렌치카페 카페믹스’ 12.3%, 동서식품 ‘맥심 모카골드 믹스’ 11.6%로 두 자릿수 인상률을 보였다. 분유도 남양유업 제품 중심으로 10% 이상 올랐으며, 이는 원재료 비용 상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정부가 세제 혜택과 원료비 완화 정책으로 식품업계의 부담을 줄여줬음에도 불구하고, 주요 식품기업들이 잇따라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어 소비자들의 반발과 불신이 커지고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회장 문미란)는 2월 성명을 통해 식품업계의 무분별한 가격 인상을 비판한 데 이어, 3~4월 잇따른 제품 가격 인상 행보에 대해 “기업은 이윤만 추구하고 소비자 부담은 외면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소비자단체에 따르면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코코아, 커피농축액, 설탕 등 13개 수입 원재료에 대해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부가가치세를 면제하는 등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지원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은 라면, 컵밥, 아이스크림, 유제품 등 주요 가공식품의 가격을 올리고 있다. 특히 일부 원재료는 국제 시세가 오르지 않았음에도 가격 인상의 명분으로 제시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밀가루, 식용유, 옥수수 등의 가격은 전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단체가 공개한 2023~2024년 식품업계 주요 기업의 실적 자료에 따르면, 상당수 기업들이 영업이익이 오히려 증가한 상황이다. ▲CJ제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