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육계값 7.7% 떨어졌는데 치킨값은 상승…이중가격 피해는 소비자 몫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19일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 7개사의 재무제표와 육계(원재료) 납품가격, 배달앱 가격 운영 실태를 분석한 결과, 원가 부담은 줄었는데도 소비자 판매가격은 인상되거나 이중가격(자율가격제)로 인상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협의회는 “올해 외식 물가 논란의 중심에는 프랜차이즈 치킨이 있다”며 “배달앱 수수료와 임대료 등을 명분으로 가격을 올리거나, 매장·배달 가격을 다르게 책정하는 이중가격, 슈링크플레이션 등을 통해 실질적인 소비자가격이 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 재무현황, 육계 시세, 치킨 가격과 소비자 정보 제공 실태를 종합적으로 점검한 첫 번째 분석 결과다. 매출원가율은 내리고 영업이익은 늘었는데…“가격 인상 명분 약하다” 협의회가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점 수 상위 7개 프랜차이즈(BHC, BBQ, 교촌치킨, 굽네치킨, 처갓집양념치킨, 네네치킨, 페리카나)의 2023~2024년 재무제표 변동률을 분석한 결과, 7개 브랜드 모두 2024년 매출원가율이 2023년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BBQ와 굽네치킨의 영업이익은 각각 41.4%, 59.8% 증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