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 이하 농진청)은 농업 현장의 안전 수준을 높이고, 사고 없는 안전한 농작업 환경 조성을 뒷받침할 2026년도 농작업안전관리자를 신규 모집한다고 11일 밝혔다. 농작업안전관리자는 각 농가를 방문해 농작업 위험성 평가 및 위험 요인 진단·개선 조치 등 업무를 통해 농업 현장의 안전 문화 확산과 실천을 유도하고 농작업 안전재해예방 지원체계 구축, 이행을 지원하는 전문 인력으로 원서 접수 기간은 12월 19일까지이며, 모집공고는 농진청과 9개 도 농업기술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원자는 산업안전보건법 관련 안전·보건관리 실무경력 2년 이상 보유자, 산업안전보건법상 관리감독자 실무경력 1년 이상 보유자, 기타 농작업 안전관리에 경험역량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 농작업안전보건기사 등 안전.보건 관련 자격증 보유자 등 각 요건 가운데 하나 이상 충족해야 하며, 선발은 올해보다 2배 이상 증가한 88명이며, 근무 지역은 전국 44개 시군 가운데 1곳을 선택할 수 있다. 올해 농작업안전컨설팅이 진행된 20개 시군 농업인 및 농작업안전관리자 등 현장 의견을 기반으로 2026년부터 추진되는 농작업 안전재해예방 지원체계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강경숙 의원과 전국교육공무직본부는 13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잇따른 학교급식실 종사자 폐암 산재 및 사망에 대한 정부의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실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학교급식실 환기시설 개선율은 41% 수준이나, 서울은 개선율이 12%에 그치는 등 지역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이래 학교급식실 노동자 중 폐암 확진자는 약 70여 명, 산업재해 사망자는 15명으로 나타났다. 2025년 8월 기준으로 산업재해를 승인받은 학교급식 종사자는 178명에 이른다. 열악한 환경은 채용을 어렵게 만들고, 채용이 어려워질수록 남은 노동자의 업무는 과중해진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강경숙 의원실이 전국 시도교육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조리실무사의 전국 평균 근속연수는 ∆2023년 8.44년 ∆2024년 8.08년 ∆2025년 7.80년으로 매년 줄어들고 있다. 올해 전국 기준 평균 결원율은 3.2%이지만, 이 역시 ∆서울 10.06% ∆제주 10.51% 등 지역간 편차가 심각하다. 특히 자치구 단위로 나누어 보면 ∆강남 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