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연세대학교 연세유업이 겨울철 대표 간식인 고구마를 활용한 ‘연세우유 고구마 디저트’ 3종을 출시한다고 25일 밝혔다. 최근 제철 원료를 활용한 ‘제철 코어’ 트렌드가 식품업계에서 확산되며, 겨울철 대표 간식인 고구마를 활용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연세유업은 이러한 흐름을 반영해 고구마의 달콤함과 부드러운 식감을 즐길 수 있는 겨울철 디저트를 선보이기 위해 ‘연세우유 고구마 디저트' 3종을 기획했다. ‘연세우유 고구마 생크림빵’은 달콤하고 부드러운 고구마맛 슈크림을 가득 채웠으며, 군고구마의 풍미를 구현하기 위해 쫀득한 고구마 브륄레맛 무스를 더했다. 빵 시트 안쪽은 자색 고구마를 연상할 수 있도록 보라색 컬러를 활용했다. ‘연세우유 고구마 생크림빵’은 지난해 연세유업이 진행한 ‘연세빵빵캠페인’을 통해 소비자가 직접 제안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올해 업그레이드해 정식 출시된 제품이다. ‘연세우유 고구마 맘모스’는 꾸덕한 크림치즈 크림과 진한 고구마 무스 사이에 고구마 다이스를 넣어 보다 진한 고구마맛과 포만감을 살렸다. 맘모스빵 특유의 소보로 시트 사이에는 단팥을 더해 달콤함을 극대화했다. ‘연세우유 고구마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 이하 aT)는 10일 르빵(Le Pain) 챔피언십 베이커리 대회에서 우리밀 뺑드미 부문의 시상식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뺑드미는 균일한 내부와 부드러운 크러스트가 특징인 촉촉한 식빵으로 aT는 이번 대회에서 국산밀의 품질 경쟁력과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국산밀을 활용한 우리밀 뺑드미 부문을 신설해 추진했다. 지난 9월부터 전국 35개 베이커리 업체가 치열한 예선을 거쳤고, 6일 서울 코엑스 라이브플라자에서 열린 현장 결선에서 3개 우수 업체를 최종 선정했다. 우리밀 뺑드미 부문 1위는 류신혁 빵고 베이커리 쉐프가 차지했으며, 빵고 베이커리의 제품은 풍성한 볼륨감과 쫄깃한 식감, 그리고 국산밀 특유의 고소하고 은은한 단맛이 조화를 이뤄 심사위원단으로부터 “우리밀의 매력을 가장 잘 살린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았다고 aT는 설명했다. 1위를 차지한 빵고 베이커리에게는 내년 6월 프랑스 파리의 밀레앙(Mill&un, 서용상 쉐프)에서 우리밀 뺑드미 팝업을 열 수 있는 특전도 주어질 예정이다. 이번 대회에서는 농식품부와 aT가 시범 추진한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파리바게뜨의 건강빵 브랜드 ‘파란라벨(PARAN LABEL)’이 론칭 6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 1,300만 개를 돌파했다. 파란라벨은 파리바게뜨가 올해 2월 27일 선보인 건강빵 브랜드로, 독자적으로 개발한 ‘통곡물 발효종’을 통해 건강빵의 거친 식감을 개선하고 장시간 부드러움과 촉촉함을 유지해 출시 직후부터 뜨거운 시장 반응을 얻으며 건강빵의 아이콘으로 떠올랐다. 6월에는 파란라벨의 정체성인 맛과 건강의 밸런스를 케이크에 적용한 ‘저당 그릭요거트 케이크’를 선보였다. 파란라벨 ‘저당 그릭요거트 케이크’는 100g당 당류 5g 미만으로 저당 트렌드에 부합하면서도 케이크의 달콤함을 그대로 살린 제품으로, 홀케이크 1개 기준으로 특허받은 생(生)유산균이 500억 CFU(보장균수) 이상 함유돼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파리바게뜨는 빵을 넘어 샌드위치, 케이크, 음료, 디저트 등 전 카테고리로 제품 라인업을 넓히며 ‘파란라벨’ 브랜드 확장에 나섰다. 파리바게뜨는 가을 시즌을 맞아 맛과 건강을 모두 담은 파란라벨 신제품을 출시한다. ‘명가명품 고단백 서리태 카스테라’는 ‘서리태’를 사용해 고소한 맛과 영양을 모두 잡은 제품이다. 고단백 서리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가루쌀 산업 3년 차…올해는 소비자 곁으로 더 가까이"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2일부터 5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한국국제베이커리페어’에서 ‘2025 가루쌀 제과·제빵 신메뉴 개발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 행사에는 전국 100여 개 지역 베이커리가 참여해 가루쌀을 활용한 제과·제빵 신제품을 선보였다. 이번 출범식은 쌀 과잉 문제를 해소하고 수입 밀가루를 대체할 수 있는 ‘가루쌀 산업’의 활성화를 목표로 마련됐다. 농식품부는 지역 베이커리들이 가루쌀을 원료로 빵과 과자를 개발할 수 있도록 신제품 개발을 지원하고, 가공 적성 기술 세미나를 통해 제품 개발 노하우도 공유하고 있다. 올해는 전국 100개소의 지역 베이커리를 대상으로 샘플 제공, 기술 세미나, 신메뉴 기획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김경은 농식품부 전략작물육성팀장은 “이번 행사는 한국국제베이커리페어와 연계해 가루쌀을 활용한 제과·제빵 업체들의 참여 기회를 마련한 것”이라며 “가루쌀 홍보 부스에서는 다양한 제품을 직접 시식하고 체험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가루쌀은 수입 밀가루를 대체할 수 있는 국산 원료로, 빵, 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