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세계김치연구소(소장 장해춘)는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제2기 산학연관 협의체 발대식을 개최하고, 김치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과학기술 중심의 산업 혁신을 위한 협력체계의 본격적인 출범을 23일 알렸다. 이번 협의체는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운영된 제1기 협의체의 실질적인 성과를 바탕으로, 급변하는 국내외 산업 환경과 기술 트렌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새롭게 구성했고,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정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35인이 위원으로 위촉되어, 3년간 김치산업의 미래 전략 수립과 실행을 주도하는 핵심 역할을 맡게 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 부처와 식품 및 바이오 관련 기업과 대학을 비롯해, 한국식품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한국연구재단,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 세계김치연구소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는 주요 연구기관이 참여하여 정책과 현장의 연계를 강화하고 실행력을 높일 것으로 세계김치연구소는 기대하고 있다. 협의체 구성으로 기술개발, 산업지원, 사업기획, 정책 등 4개 분과로 운영되며, 각 분과는 핵심 과제의 체계적 발굴과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세계김치연구소(소장 장해춘)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계열의 자체 개발한 김치종균 3종(WiKim32, WiKim33, WiKim0121)이 김치 발효 환경에서 생존하고 우점균으로 자리잡는 생물학적 기전을 세계 최초로 구명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김치 발효 초기 단계에서 종균이 경쟁 유산균을 제치고 생태계를 선점하는 과정을 유전체, 전사체, 대사체 등 멀티오믹스(Multi-omics) 기반 통합 분석을 통해 실증한 첫 사례로 고기능성 종균의 선발과 평가에 있어 과학적 기준을 정립하는 데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었다. 연구 결과, WiKim 종균은 포도당, 과당뿐만 아니라 라피노스, 갈락토스, 락토스 등 다양한 탄수화물을 효율적으로 대사할 수 있는 유전적 특성이 있으며, 발효 초기에 빠른 에너지(ATP) 생성으로 생존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온과 산성이라는 발효 환경 스트레스 조건에서도 특이 유전자 발현을 통해, 뛰어난 생존력과 군집 형성 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분석됐고, 김치 발효 전 과정에서 품질의 균일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