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살카토닌', 골다공증치료 적응증 삭제

골다공증 치료에 사용되는 '살카토닌' 함유 제제를 오랫동안 투여할 경우 암 발생률이 높아질 수 있다는 보고가 나왔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23일 고칼슘혈증 치료제로 사용되는 '살카토닌' 함유 제제의 적응증을 제한한다는 내용의 안전성 서한을 배포했다.

 

앞서 유럽 의약품청(EMA) '살카토닌' 제제의 시판 전후 임상시험자료 등을 검토한 결과 암 발생 위험이 0.7~2.4%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해당 치료제의 '폐경후 골다공증 치료' 적응증을 삭제하고 파제트병 환자에게 투여할 때에도 치료 효과가 없는 경우 3개월 이내로 사용하라고 권고했다. 파제트병은 뼈가 만들어졌다가 파괴되는 일이 비정상적으로 반복되는 만성질환이다.

 

식약청 관계자는 "이번 정보에 관한 국외 조치동향 및 안전성, 유효성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를 실시해 허가사항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국내에 살카토닌 함유 제제로 허가된 의약품은 미쓰비시다나베파마코리아의 '메노칼비강분무액200아이유', 한국노바티스의 '마야칼식주50'과 '마야칼식나살스프레이200', 동아제약의 칼토닌비강분무액200아이유(수출용)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