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대형병원 ‘의료기기 리베이트'로 20억 챙겨

의사들 돈 더 챙기려 주먹다짐까지

시장규모가 6조원에 달하는 의료기기 유통 시장에서 대형병원들이 수억원대 리베이트를 챙겨온 사실이 검찰 수사결과 밝혀졌다. 의약품 리베이트에 이어 의료기기 시장에도 리베이트 수수 관행이 확인된 것이다.

 

정부합동 의약품 리베이트 전담수사반(반장 김우현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장)은 15일 의료기기를 거래하면서 리베이트를 주고받은 혐의(의료기기법 및 의료법 위반)로 의료기기 구매대행사 대표와 종합병원 의료원장 등 15명을 불구속 기소했다고 밝혔다.

 

전담수사반에 따르면 의료기기 구매대행업체인 A 사 대표 이모(60) 씨와 이사 김모(53) 씨는 2010년 11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K의료원 등 6개 대형병원에 정보이용료 명목으로 약 17억원의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다른 구매대행업체인 B사 영업본부장 진모(41) 씨와 컨설팅사업부장 김모(41) 씨도 2010년 11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3개 병원에 2억4700여만원을 리베이트로 건넨혐의를 받고 있다.

 

조사결과 구매대행사들은 의료기기 납품가를 보험 상한가까지 부풀려 청구한 다음 실제 납품가와의 차액을 병원 측에 돌려주는 방식으로 리베이트를 제공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전담수사반 관계자는 “병원들은 구매대행사에서 받은 리베이트를 정보이용료라고 포장했으나 그 정보라는 것이 실제로는 병원이 구매대행을 시키면서 당연히 알려줘야 할 발주 정보와 가격 정보 등 구매조건에 불과했다”고 설명했다.

 

병원들은 구매대행사에서 돌려받은 돈을 대부분 운영비로 사용했으나, 대행사에서 5억6000만원을 받은 일부 병원은 심지어 리베이트의 분배ㆍ보관 방식을 두고 의대 교수들끼리 주먹다짐까지 벌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에 적발된 병원은 ▲경희의료원(5억 6000만원) ▲한림대성심병원(3억 7000만원) ▲삼성창원병원(3억 5000만원) ▲강북삼성병원(2억 2000만원) ▲영남의료원(1억원) ▲건국대병원(1억원) ▲경희대강동병원(1억원) ▲제일병원(8400만원) ▲동국대병원(4700만원) 등으로 수도권의 대형 병원들이 많았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10월 경희의료원 의사들이 리베이트 배분 문제로 벌인 폭행사건을 조사하면서 의료기기 리베이트와 관련된 불법 행위를 적발,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