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식당은 중국산 찐쌀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운동이 중국집과 김밥집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는 농진청 인근에서 벌어지는 일로, D중국음식점의 경우 농진청 직원들로부터 "농진청 직원들은 중국산 찐쌀로 만든 음식은 먹지 않는다"는 말을 전해 듣고 중국산 찐쌀을 사용해 본 경험을 말하면서 중국산 찐쌀 추방에 동참하고 있다.
중국집 D사장은 "중국산 찐쌀은 끈기가 없고 푸석푸석해 도저히 판매할 수 없는 상태"라며 "이제는 중국산 찐쌀을 사용하지 않고 농협 쌀을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K김밥 전문점 업주에 따르면 "최근 찐쌀을 싼값에 공급해주겠다는 권유를 수차례 받았으나 찐쌀에 대한 유해성분 검출 보도와 최근 농진청에서 인근식당가와 김밥 전문점에 배부한 우리 쌀에 대한 홍보자료를 본 후 생각이 달라졌다"며 "성장기의 학생들이 다수 이용하고 있는 김밥전문점의 특성상 돈이 더 들더라도 우리쌀만으로 김밥을 만들어 제공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중국산 찐쌀은 '기타 조제식품'으로 수입되어 가격이 국내 햅쌀에 비해 30~50% 저렴하다. 그러나 묵은 쌀을 찐 후 햅쌀같이 보이게 하기 위해 표백을 하는 경우가 많아 인체에 해를 줄 수가 있다.
일반 음식점과 더불어 중국점까지 중국산 찐쌀을 사용하지 않기로 함에 따라 앞으로 "우리 식당은 중국산 찐쌀을 사용하지 않습니다"운동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쌀과 혼합돼 일부 김밥, 도시락용 및 단체급식소, 식당 등의 밥쌀용으로 중국 찐쌀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우리쌀의 품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잘못 인식될 수 있어 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는 수시로 집중단속기간을 정해 찐쌀의 원산지 표시를 단속하고 있다.
이에 농진청은 중국찐쌀 사용 거부 운동이 정착되기 위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하고 식당에서 사용하고 있는 쌀의 DNA를 수시로 분석해 품종을 판별해 주는 등 적극적인 관리를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