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GM, 과연 인류를 구원할 수단

식약청 “GM 철저하게 검사하고 있다”
시민단체 “GMO 안전관리시스템 믿을 수 없다“


“GMO(유전자변형식물)가 왜 필요한지, 위해성이 없다는 것을 장담할 수 있는지, 현재 안전관리시스템은 잘 갖추어져 있는지 식약청은 확실히 밝혀 달라”

“모니터링 사업과 추적관리시스템, 그리고 GMO 교육 홍보를 실시하는 등 관리엔 문제가 없다. 특히 올해 안으로 GMO 표시 품목 확대 문제를 검토해 안전성을 더욱 강화하겠다”


지난 5일 열린 ‘황금알을 낳는 거위 GMO, 과연 인류를 구원 할 것인가’ 토론회에서 유전자조작식품반대 생명운동연대와 식품의약품안전청간 GMO의 안전성 문제를 놓고 극한 대립이 벌어졌다.

김은진 사무국장은 약 30개 나라가 GMO의 재배를 금지하고 있으며, 유럽의 80%이상의 소비자들이 GMO를 원하지 않는데 왜 굳이 정부는 애써서 개발하려고 하는지 이해가 안 간다고 강하게 항의했다.

최근 GMO 회사인 몬산토의 쥐 실험 결과 GM 옥수수를 먹은 쥐들에게 이상이 생겼다는 사례에 대해 몬산토 측은 그러한 이상 현상은 GMO를 먹지 않은 쥐들에게도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태도를 보여 문제가 됐던 적이 있었다.

이런 몬산토 반응에 대해서도 김은진 사무국장은 “통계적으로 얼마만큼 나타나느냐가 아니라 GMO를 먹고 나타나는 것이 그 일반적인 수치와 같은 이유에서인지 아니면 GMO를 먹어서인지에 대한 원인 분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채 무시된다는 점”이 문제라고 밝혔다.

그는 지금까지 GMO승인현황을 봐도 알 수 있듯이 재배국을 제외하고 가장 단시간에 많이 수입을 승인한 나라가 한국이라고 덧붙였다. 덧붙여 “GMO에 관한 심사는 기존에 알려진 자료들을 통해서 이뤄지고 있지만, 실제 우리나라에서 직접 평가를 한 예는 아직까지 없다”며 “이것은 분명 심사방식에 한계가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식약청을 비판했다.

이에 대해 식약청 영양평가과 박선희 연구관은 “안전성 심사는 그 입증 자료의 과학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안전성을 심사하는 것”이라며 “이러한 안전성 심사의 기본적인 접근방법은 우리나라의 다른 식품이나 의약품의 안전성 심사와 동일할 뿐 아니라 유럽이나 일본 등에서도 동일하다”고 대응했다.

역시 식약청 수입식품과 양창숙 사무관도 “식약청에서는 GMO를 둘러싼 환경 변화 등을 ‘유전자재조합식품등의표시기준’에 반영 여부를 검토하고 있으며, GMO 제도 운영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교육 홍보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소비자단체를 통한 GMO에 대한 교육 홍보를 연중 실시함으로 좀 더 객관적 입장에서 올바른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식약청은 콩 자급률이 7%, 옥수수 0.7%로 GMO를 피하기 어려운 한국 실정을 감안할 때 안전한 식량 확보에 함께 노력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를 제안했다.

이에 김은진 사무국장은 “정부는 콩이나 옥수수가 자급률이 낮다고 무조건 수입에 의존하는데 내가 농촌에 가보니 실상 그렇지도 않았다”며 “기업들이 콩과 옥수수가 국산보다 수입이 훨씬 싸기 때문에 너도나도 들여오다 보니 이런 상황에 처하게 됐다”고 정부의 안일한 태도를 꼬집었다. 또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입식품은 먹지도 말고 가급적 수입식품을 만든 기업의 제품을 먹지 말아야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황순국 기자/hope@f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