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쌀의 품종 혼입 여부가 일반에 공개된다.
농촌진흥청(청장 손정수)은 수입쌀 국내 시판에 대비, 국산 쌀의 품질 고급화를 위해 시중 판매 쌀의 품종 혼입 여부를 일반에 공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농진청의 이같은 방침은 국내에서 육성된 벼 품종들이 각각 뛰어난 밥맛을 지니고 있음에도 품종 혼입으로 인해 제 맛을 내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농진청은 이에 따라 ‘DNA 분석 품종혼입 판별기술’을 이용해 올해 시범적으로 국내 시판 1천200여개 브랜드 쌀의 품종 혼입 상태를 생산업체에 통보하고 내년부터는 품종 혼입 상태는 물론 밥맛을 좌우하는 단백질 함유 비율까지 인터넷 등을 통해 전면적으로 공개할 계획이다.
지난해부터 시행된 포장양곡 표시 제도를 통해 시판되는 포장 쌀에는 생산연도와 중량, 원산지, 생산자 또는 가공자 연락처, 품종, 도정일자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다.
국내에서 시판되는 대부분의 포장 쌀이 단일 품종을 기재하고 있으며 일부는 품종 혼합 표시를 하고 있지만 농진청 조사 결과 5%에서 최고 67%, 평균 23.6% 정도 다른 품종이 섞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쌀 품종 혼입 여부 공개와 함께 원천적인 혼종을 막기 위해 농진청은 벼 재배 단계에서 순도가 높은 정부 보급종 공급량을 현재 32%에서 단계적으로 60~70%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미곡종합처리장의 수매 품종 추천을 1~2개로 제한해 도정 과정에서의 품종 혼입을 막기로 했다.
농진청 관계자는 “품종 혼입 여부 공개는 쌀 생산자나 유통업자에게 단기적으로는 충격으로 다가올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국산 쌀의 고품질화를 위해서는 거쳐야 할 단계”라며 “철저한 품질 관리를 통해 소비자의 신뢰를 높여 품질에 알맞은 가격 제도가 정착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병기 기자/hope@f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