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부적합식품 회수율 고작 14%

'생쥐머리 새우깡' 파문 이후 식품 리콜조치가 잇따르고 있으나 국내 식품 회수율이 극히 저조해 회수조치의 실효성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25일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2005년-2007년 상반기까지 국내 부정.불량식품 회수율은 14.2%에 그쳤다.

이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36%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는 것이다.

연도별 부정.불량식품 회수실적은 지난 2005년 22.2%, 2006년 10.4%, 지난해 상반기 10.2%로 집계됐다.

특히 국내제품 회수율인 22.8%인 반면 수입식품 회수율은 절반수준인 13.9%에 불과했다.

국내 식품 회수율이 이처럼 저조한 것은 보건당국의 회수관리 시스템이 부실하고 사회 전반의 인식이 낮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식약청은 회수계획과 관리, 결과보고 등을 포함하는 효율적인 회수관리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는데다 회수업무가 지방자치단체를 거치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김치, 수산물, 과자류 등 회전속도가 빠른 단기 유통식품이 전체 회수 대상식품의 53.6%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은 것도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고 식약청은 설명했다.

김치와 수산식품류는 짧게는 10일 이내, 길게는 2개월내 소비되며, 과자류의 소비회전율도 2개월 이내인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 회수 개시일은 제조.수입일로부터 평균 5.8개월이 소요돼 회수시점에는 대부분의 제품이 소진되고 유통되지 않는 실정이다.

더욱이 회수대상 업체 대부분이 영세업자로 회수에 적극적이지 않은 편이다.

불성실 회수업체에 대해 별다른 제재가 없는 것도 회수실적이 저조한 또 다른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식약청 관계자는 "이번에 마련된 식품안전종합대책에 따라 신속회수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라며 "회수시스템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거나 회수가 부실한 업체에 대해서는 행정처분이 내려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