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가정 간편식으로 많이 소비하는 곰탕·삼계탕 등 식육추출가공품 제조업체가 지켜야 할 곰탕·삼계탕 미생물 안전 가이드라인을 21일 배포한다고 밝혔다. 최근 1인 가구 증가와 함께 간편함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쉽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식육추출가공품 생산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식육추출가공품은 육류를 원료로 가공해 만든 육수, 농축액, 레토르트 형태의 제품 등으로 즉석탕·소스류·편의식 등에 활용도가 높아 간편식 시장 성장과 함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실제 생산실적을 살펴보면 ▲2022년 16만4천톤 ▲2023년 17만4천톤 ▲2024년 19만7천톤으로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최근 3년간(’23~’25.4월) 식육추출가공품 검사 결과 부적합률은 약 2.8%로 식육가공품 전체 부적합률 0.5% 대비 5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부적합의 주요 원인은 불충분한 가열처리, 밀봉 포장 불량 등으로 인한 대장균 및 세균수가 초과 검출되는 것으로 확인돼 체계적인 안전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식약처는 식육추출가공품 제조 현장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식육추출가공품의 생산 단계별 미생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자유한국당 농림축수산특별위원회, '축산물 안전관리 일원화 방안’ 간담회 '농장에서 식탁까지' 축산물의 안전관리 일원화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농식품부로의 일원화에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축산물 안전관리 일원화는 지난해 발생한 살충제 계란 파동 이후 줄 곧 지적돼 온 사항이다. 현재 축산물 안전관리업무는 이원화돼 생산단계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유통·소비단계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관리하고 있어 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일관성 있는 대처가 어렵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국회에서도 축산물 안전관리업무 일원화 필요성에 공감대가 형성, 일원화의 주체를 농식품부로 하는 법안과 식약처로 하는 법안이 각각 발의돼 있는 상황이다. 양 측 간 이견이 팽팽한 가운데 5일 자유한국당 농림축수산특별위원회(위원장 이완영)는 국회에서 ‘축산물 안전관리 일원화 방안’을 논의하는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간담회 참석한 학계, 축산인들은 농식품부로의 축산물 위생.안전관리 업무 일원화에 대한 필요성을 적극 주장하고 나섰다. 이 자리에서 이완영 위원장은 "농축산물의 안전관리가 식약처, 농림부가 이원화 돼 있어 제대로된 관리가 안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