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국내에서 성인 7~8명 중 1명이 앓고 있는 만성콩팥병이 최근 10년간 급격히 증가한 가운데, 특히 경제활동인구(15~65세)에서도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한 의료비 부담을 넘어 국가 생산성 저하와 사회경제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적 문제로 지적된다. 2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최보윤 의원이 대한신장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경제활동인구 내 만성콩팥병 환자는 2015년 8만 6,356명에서 2024년 12만 1,821명으로 41.1% 증가했고, 같은 기간 요양급여비용은 7,666억 원에서 1조 401억 원으로 3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만성콩팥병이 고령층 중심의 질환에서 벗어나 사회·경제의 핵심축인 생산가능 인구층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질병관리본부의 '만성콩팥병의 사회경제적 질병부담 측정 연구(2012)'에 따르면, 만성콩팥병 1기 환자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약 1,893억 원 수준이지만 4기에서는 약 2조 5,337억 원, 말기신부전(ESRD 및 투석) 단계에서는 20조 원을 초과하는 것으로 분석됐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국내 성인 7~8명 중 1명이 앓고 있는 만성콩팥병 환자가 최근 10년간 2배 가까이 급증했지만, 정부의 국가 차원 관리체계는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최보윤 의원(비례대표)이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및 대한신장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와 보건의료빅데이터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만성콩팥병 환자 수는 2015년 17만 576명에서 2024년 34만 6,518명으로 103.1% 증가했으며, 투석 환자도 같은 기간 6만 1,218명에서 10만 2,033명으로 66.7%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콩팥병은 신장 기능이 3개월 이상 저하되어 노폐물과 수분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는 질환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말기신부전으로 진행해 투석이나 이식 없이는 생명을 유지할 수 없다. 의원실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 말기신부전 유병률은 인구 100만 명당 2,608명으로 대만·일본에 이어 세계 3위이며, 투석·이식 환자는 현재 13만 7천 명으로 10년 새 2배 증가했다. 2023년 만성콩팥병 진료비는 2조 6,671억 원으로 단일 질환 중 3위를 기록, 2024년에는 약 2조 8,300억 원으로 불과 1년 만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저속노화’ 전문가로 잘 알려진 정희원 박사가 tvN 예능 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럭’에서 소개된 일부 건강 상식에 대해 반박을 예고했다. 정 박사는 10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 커뮤니티에 “최근 한 방송에서 ‘물을 많이 마시면 심장 전기가 끊겨 사망할 수 있다’, ‘채소와 과일을 많이 먹으면 저나트륨혈증이 생긴다’, ‘저염식은 오히려 위험하다’는 주장이 소개돼 관심과 혼란이 동시에 커지고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이러한 내용 중 상당수는 의학적으로 과장됐거나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며, 일부는 건강한 식습관에 불필요한 공포심을 조성할 수 있다”며 “올바른 정보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정 박사는 오는 11일 오후 9시 대한신장학회 이사이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장내과 전문의인 김세중 교수를 초청해 해당 주장들에 대한 의학적 해설과 팩트체크를 진행하는 라이브 토크 방송을 예고했다. 이번 방송 예고는 지난 6일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한 이계호 충남대 명예교수의 발언에 대한 대응 성격이 짙다. 당시 이 교수는 “하루 2리터 물을 무조건 마시는 습관은 건강에 해로울 수 있으며, 개인 상태와 식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