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김장철을 앞두고 정부가 대규모 비축물량 방출과 가격 할인 대책을 가동하며 물가 안정에 총력에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4일 “김장 주재료인 배추·무 생산량이 전년 대비 늘어나 공급 여건이 양호하다”며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해 총 500억 원 규모의 김장재료 할인행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국가데이터처 10월 소비자물가지수 조사 결과, 농축산물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다. 농산물은 1.1% 상승에 그치며 안정세를 보였고, 축산물(5.3%)·가공식품(3.5%)·외식물가(3.0%)도 전월보다 상승폭이 완화됐다. 추석 이후 이어진 잦은 비와 병해 우려에도 김장용 가을배추 생산량은 전년 대비 3.2% 증가한 120만1천톤으로 전망된다. 무 생산도 안정적으로 유지돼 김장철 주요 채소 공급에 차질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농식품부는 “가을장마로 늦어진 쌀 수확도 본격화돼 쌀값 역시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에 따르면 올해 가정에서 직접 김치를 담그겠다는 비율은 62.3%로 전년(64.5%) 대비 2.2%p 감소했다. 4인 가구 기준 김장 규모도 18.3포기로 소폭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9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29.7포인트) 대비 소폭 하락한 128.8포인트를 기록했고, 품목군별로 곡물, 유제품, 설탕, 유지류 가격은 하락, 육류 가격은 상승했다고 8일 밝혔다. 이에 농식품부는 세계식량가격지수 대비 국내 농축산물 물가지수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정부는 국내 농축산물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성수품 공급 확대, 할인 지원, 비상 수급관리 체계 강화 등의 다양한 대책을 발표함에 따라 김장철 농축산물의 안정적 공급과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해서도 선제적 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국제 밀 가격은 국제 수요 부진과 러시아, 유럽, 북미 주요 산지의 풍작 영향으로 3개월 연속 내렸으며, 옥수수 역시 브라질과 미국의 풍부한 공급 전망, 아르헨티나의 수출세 일시 중단 등으로 하락했지만 보리와 수수 가격은 상승세를 보여 보리는 3개월 연속 상승했다. 쌀 가격은 인디카종 중심으로 0.5% 하락했는데, 필리핀과 아프리카 등 구매국 수요 둔화와 풍부한 수출 물량이 영향을 미쳤으며, 팜유와 대두유 가격이 하락하며 지수를 끌어내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