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수협유통이 운영하는 ‘바다마트’의 경영 실적이 급속도로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경북 고령군‧성주군‧칠곡군)이 수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바다마트는 최근 5년간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세를 보이며, 올해 처음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자료에 따르면 바다마트의 매출액은 2020년 670억 원에서 2024년 555억 원으로 약 17% 감소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9억 원에서 8억 원으로 58%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21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감소했고, 올해(2025년 9월 기준)에는 영업손실 3억7천만 원, 순손실 2억2천만 원을 기록하며 적자로 돌아섰다. 점포별 수익성도 급격히 악화하고 있다. 2020년 적자를 기록한 점포는 전체 18개 중 2개(11.1%)에 불과했으나, 2025년 9월 기준으로는 17개 중 12개(70.6%)가 적자로 전락했다. 이는 불과 5년 만에 적자 점포 비율이 6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수협 측은 재무악화의 원인으로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 부진, ▲대형 온라인몰의 확장에 따른 오프라인 시장 위축, ▲시설 노후화로 인한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MBK 파트너스는 24일 홈플러스 기업 회생과 관련해 국민에게 공식 사과문을 발표했다. 회사 측은 대주주로서 부족한 판단과 경영 관리로 홈플러스가 회생 절차에 돌입하게 된 데 대해 “국민 여러분께 큰 걱정과 실망을 끼쳐 드린 점을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MBK 파트너스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는 점 깊이 반성한다”며 “홈플러스의 기업 회생은 단순한 재무적 실패가 아니라, 국민 일상과 밀접하게 연결된 기업의 대주주로서 저희가 얼마나 무거운 책무를 온전히 다하지 못하였음을 절실히 깨닫게 해주었다”고 말했다. MBK 파트너스는 이미 2조 5000억 원 규모의 보통주 무상 소각을 결정하고 설립자의 사재 출연 및 연대보증 등을 포함해 홈플러스에 총 3000억원의 재정 지원을 실행했지만, 이에 대해 “국민 여러분께 드린 상처와 실망에 비하면 여전히 부족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MBK 파트너스는 추가적으로 사회적 책임 이행 방안을 발표했다. MBK파트너스는 인가 전 M&A 과정에서 인수인의 자금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향후 발생할 MBK 파트너스의 운영수익 중 일부를 활용해 최대 2000억 원을 홈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