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HACCP신청 간소화 등 식품규제 개선

4대분야 16개 과제 지정..경쟁력 강화 주력

앞으로 천일염 가운데 부가가치가 높은 토판(土版) 천일염의 불용분 기준이 완화되며 막걸리 전용 벼 품종의 개발도 이뤄진다.

또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적용업소 지정 신청이 간소화되고 외식업에 대한 벤처 투자도 허용된다.

국무총리실은 6일 농림수산식품부, 법무부, 농촌진흥청 등 관계부처 공동으로 총 16개항의 '식품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합리화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부가가치가 매우 높지만 엄격한 불용분(불순물 등 녹지 않은 물질) 기준 때문에 생산량이 극히 적은 토판염에 대한 불용분 기준을 낮출 방침이다.

제조기법상 토판염에는 흙판의 불순물이 섞일 수밖에 없으나 현재는 두가지 모두 불용분 성분을 0.15%로 제한하고 있어서 생산량의 99%가 장판염이다.

토판염은 갯벌을 다져 만든 흙판에서 생산하는 전통방식이고, 장판염은 바닷물을 흙판에 가뒀다가 PVC장판이나 타일을 깐 염전으로 옮기는 방식이다.

정부는 또 천일염 품질 등급제를 도입하고 가축의 초유도 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 제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고부가가치 식품산업 육성에도 나설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2.5t 미만의 자가용 화물차 소유자의 차고지 설치 의무 면제, 수산물 품질인증절차 간소화, 식품위생법 위반시 과도한 처분 완화 등 식품산업 영업규제 완화책도 마련했다.

또 천염감미료인 스테비아를 식빵과 캔디류 등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식품관련 기준 합리화 방안과 외국인 한시교육 연수생에 대해 비자발급 규정을 완화하는 내용을 담은 창업 및 투자 활성화 방안도 확정했다.

최병록 총리실 규제개혁실장은 "개선방안은 식품의 고부가가치 산업화를 촉진하고 한식의 세계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현장에서 이행되는지 지속적으로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