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국내산 쇠고기 광우병 전수검사 필요”


국내 쇠고기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수검사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는 11일 오전 역삼동 소재 과학기술회관에서 대한수의학회 등이 주최한 ‘소해상뇌증 검사체계와 과학적인 쇠고기 안전관리’ 정책토론회에서 대부분 토론자들은 소비자로부터 국내산 쇠고기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수검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우희종 교수(서울대 수의대)는 이를 위해 공인된 광우병검사를 특정기관에서만 실시하지 말고 국내 자격이 있는 대학 등 다른 법정전염병과 동일하게 위탁검사기관을 확대해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위탁검사기관 확대는 현재 국회에서 의원발의로 추진되고 있다.

우 교수는 “EU와 일본처럼 국내 쇠고기에 대한 전수검사가 필요하며, 30개월 이상 도축소를 대상으로 권고하고 구체안을 도출하기 위해 전문가회의를 통해 국내 상황을 면밀히 점검한 후에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중복 건국대 수의대 교수 역시 “과거 일본이 전 두수 검사를 실시해 미.일 쇠고기 협상 시 식품안정성 측면에서 미국보다 우위에 서고 일본의 화우를 미국에 수출했듯 우리 역시 광우병 전 두수 검사를 실시해 국내산 쇠고기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국내산 고급브랜드 쇠고기를 수출하는 길을 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홍율 서울대 수의대 명예교수도 “농림수산식품부로 명칭이 개편된 위상만큼 소비자를 위한 식품안전성 확보문제가 커졌으므로 쇠고기 문제에 있어서도 국민들로부터 신뢰받을 수 있도록 보다 과학적인 식품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제언했다.

이에 앞서 서울대 수의대 이영순 교수는 발제를 통해 “앞으로 많은 젖. 고기를 얻기 위해서는 항생제와 호르몬제를 적당히 사용해오던 공장식 사육체계를 전면개편, 환경친환적으로 가야 한다는 것이 광우병사태에서 얻어진 교훈”이라며 “영국과 독일이 공장식 사육체계에서 유기농방식을 채용한 소규모 농장체제로의 움직임이 일어나듯, 우리나라도 보다 위생적인 사육시설에서 가축을 밀집 사용하지 않은 환경 하에서 기르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