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 2년 연속 100조 돌파...전년비 3.5%↑

라면.김치 수출 역대 최고, 기내식 생산도 가파른 성장세
코로나19 이후 해외여행 증가로 기내식 생산 63.4%↑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이 2년 연속 100조 원을 돌파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와 식품안전정보원(원장 이재용)은 2023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100조 원을 돌파한 가운데 전년(104조 8190억 원) 대비 3.5% 증가(108조 4875억 원)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2021년, 2022년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코로나19로 인한 외식 감소와 가공식품 소비 증가로 인해 각각 10.5%, 12.5% 상승했던 것에 비해 2023년 생산실적은 코로나19 종식으로 인해 코로나19 이전과 유사한 수준의 성장률을 보였다.


2023년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국내 총생산(GDP) 2236조 3294억 원 대비 4.9%, 국내 제조업 총생산(GDP) 546조 6640억 원 대비 19.8%를 차지했다.


2023년 생산실적 108조 4875억 원 중 식품 등(식품,첨가물, 용기포장 등)은 69.9조 원(64.5%), 축산물은 35.8조 원(33%), 건강기능식품은 2.7조 원(2.5%)이며, 수출실적은 7조 2343억 원으로 ’22년 수출실적 7조 4444억 원과 유사한 수준이다.

 

 K-푸드 열풍.수출 비관세장벽 해소로 라면, 김치류 수출실적 상승, 기내식 시장 가파른 성장세


식품 등 생산실적은 69조 9308억 원으로 전체 생산실적의 64.5%를 차지했고 전년(67조 5142억 원) 대비 3.6% 상승했다.


식품 중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 품목은 ▲즉석섭취․편의식품류, ▲소스류, ▲빵류 등이며 즉석섭취․편의식품류는 바쁜 현대인들이 간단하게 식사를 할 수 있는 간편식 소비 증가, 소스류(소스, 마요네즈, 케챂, 복합조미식품 등)는 각종 요리, 음식에 빠질 수 없는 품목으로 생산이 증가했으며 빵류는 서구화된 식사 습관으로 빵류 소비가 늘고 카페에서 베이커리를 함께 판매하는 곳이 증가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즉석섭취식품(도시락)’의 생산액이 전년에 비해 크게 증가했는데, 이는 코로나19로 제한되었던 국가간 이동이 정상화됨에 따라 해외여행 중 기내에서 섭취하는 도시락 형태의 기내식 소비가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또한 가장 많이 수출된 품목은 ▲라면(유탕면), ▲즉석섭취․편의식품류, ▲조미김 등이다. 라면(유탕면)은 한류열풍에 따른 수출 증가, 즉석섭취․편의식품류는 간편식 등 편리성 추구, 식품소비 트랜드 변화에 따른 수출 증가, 조미김은 외국에서 김밥에 대한 인기도 높아져 김밥 김 수출량 증가가 주요 요인이다.

 
특히 한류 열풍으로 전 세계로 확산 중인 ‘라면(유탕면)’은 전년 대비 수출액이 크게 증가했다. 이는 유럽연합(EU)의 에틸렌옥사이드 관리 강화 조치로 인해 한동안 수출에 적신호가 켜졌던 라면(유탕면)이 식품 수출 비관세장벽 해소를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체계적인 대응과 지원으로 EU 수입 규제가 해제되는 등 식약처의 적극적인 규제 외교 덕분에 수출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었다.


아울러 김치류가 코로나19 이후 해외에서 면역력을 높여주는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인기가 높아지면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해 수출액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이는 한류 열풍에 따른 K-푸드의 인기 상승으로 인해 미국과 유럽에서 김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포장육‧양념육류 등 식육 제품 생산실적 여전한 강세...전체 생산실적의 33%

 
축산물 생산실적은 35조 7983억 원으로 전체 생산실적의 33%를 차지해 전년(34조 4998억 원) 대비 3.8% 상승했다. 최근 3년 평균 증가율 10.5%에 비해서는 소폭 증가한 모습이다. 

 
축산물 중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 품목은 ▲돼지고기 포장육, ▲쇠고기 포장육, ▲양념육류 등이며, 지난해 돼지고기 포장육의 생산실적은 9조 3527억 원(축산물 전체의 26.1%), 쇠고기 포장육은 7조 3545억 원(축산물 전체의 20.5%), 양념육류는 5조 3161억 원(축산물 전체의 14.9%)으로 3개 품목이 전체 식품 생산실적의 20.3%, 축산물 전체 생산실적의 61.5%를 차지했다.

 
돼지고기 포장육의 경우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데다 구이뿐 아니라 찌개, 만두 등 다양한 요리에 쓰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더불어 소고기 포장육, 양념육류의 경우 식습관의 서구화로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건강기능식품, 전년 대비 전체 수출액 15.4% 증가

 
건강기능식품의 ’23년 생산실적은 2조 7585억 원이며 전년(2조 8050억 원)에 비해 1.7% 감소했으나 수출실적의 경우 2억 4834만 달러로 전년(2억 1522만 달러) 대비 15.4% 상승했다.

 
건강기능식품 중 생산실적이 가장 많은 제품은 전년과 같이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주는 홍삼제품(점유율 16.8%, 4644억 원)으로 나타났다. 다만 홍삼 제품의 경우 코로나19 종식으로 개인 면역력 증진을 위한 소비도 감소해 국내 생산실적은 전년(5896억 원) 대비 21.2% 하락했으나, 중국, 일본, 베트남 등 해외수요 증가로 수출액(5632만 달러)은 전년(4267만 달러) 대비 32% 상승하면서 건강기능식품의 대표상품으로서 부동의 1위를 지켰다.

 
홍삼에 이어 칼슘(963억 원, 35.8%↑)과 비타민E(240억 원, 58.1%↑) 등 비타민 및 무기질(4389억 원) 제품 생산이 전년(3817억 원) 대비 15% 증가했으며, 이는 제품의 수요 증가와 동시에 건강기능식품 업계의 제품 품질향상과 수출 확대 노력으로 중국 등에 수출액이 대폭 증가해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테아닌 제품의 생산·수출실적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최근에는 면역력 증진 외에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관심도 증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식약처 관계자는 "이번 생산실적 자료가 식품산업 분야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향후에도 식품산업의 제품 분석·연구와 정부정책 수립 등 식품산업 발전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누리집(www.mfds.go.kr → 통계 → 통계간행물 → 식품 등 생산실적)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