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고] '까치 까치 설날은~' 설날과 떡국의 의미

양향자 요리연구가/식공간연출학박사/푸드스타일리스트

까치 까치설날과 우리 우리설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


설날 설빔을 입기 위해 고사리 같은 손가락을 세어보며 기다리던 설날. 고무신 바닥이 다 달고 발이 커감에 신발이 작아 발가락을 꾸부리며 신던 신발도 설날 설빔으로 받아 신어야만 했던 기억이 난다.


요즘도 동심의 세계로 돌아가서 생각해 보면 그때가 그리워지곤 한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가래떡은 떡국만 끓여 먹는 게 아니라 우리의 주전머리로도 그만 이였지 안나 생각이 든다.


또한 우리가 설날 먹는 떡국은 우리 민족의 원대한 소망이 녹아 있기도 하다. 길쭉한 가래떡은 무병장수를 의미한다. 가래떡이 엽전처럼 둥글게 썬 것은 부자가 되고 싶은 바람이요. 단명과 배고팠던 지난날 우리 조상들의 한과 염원이 담겨 있는 게 바로 떡국이었다. 유난히도 하얀 색을 좋아했던 우리조상들은 지난해 안 좋았던 일을 깨끗하게 잊고 새롭게 새해를 시작하자는 뜻도 함축돼 있다.


꼭 적당한 것이 없을 때 그와 비슷한 것으로 대신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꿩대신 닭”이다. 라는 말도 예전에 떡국을 끓일 때 꿩을 사냥하여 국물을 내 떡국을 끓였으나 요즘은 꿩을 잡기가 어려움이 있자 비슷한 닭으로 떡국을 끓였다는 의미로 꿩 대신 닭이라는 속담도 생겨났다하니 우리의 설날이 가져다주는 여러 가지 의미와 뜻은 많은 교훈을 주지 않나 생각이 든다.


또한 개성 사람들은 흰떡을 가늘게 빚어 끊고 가운데를 대나무 칼로 잘라 잘록하게 만든 조롱박 모양의 떡국을 해 먹었다.
고려가 망하고 조선 왕조가 들어선 뒤 박해를 받은 개성 사람들이 이성계의 목을 연상하여 만들어 먹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조선 태조 이성계에 대한 원한이 얼마나 사무쳤는지 짐작이 간다.


떡국은 상고시대 신년 제사 때 먹던 음복 음식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한다.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에 따르면, 조선시대 문헌 ‘동국세시기’ 등은 떡국을 백탕 혹은 병탕이라 고 했고 겉모양이 희다고 하여 백탕이라 했으며 떡을 넣고 끓인 탕이라 하여 병탕이라 했다고 적혀있다. 그래서 떡국을 병탕 또는 첨세병으로 부르기도 했다.


꿈이 있는 백성을 망하지 않는다. 라는 말이 있다. 2020년 경신년 새해에 떡국의 의미처럼 지난해 나쁜 일은 잊고 찬란한 대한민국의 새해를  소망해 본다.



양향자 요리연구가/식공간연출학박사/푸드스타일리스트
사단법인 세계음식문화연구원 이사장
사단법인 한국푸드코디네이터협회장
양향자 푸드앤코디아카데미원장
국정교과서(고등)편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