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고] 친환경 농업은 소비자 지향적이어야 한다.

현성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유통교육원 연구위원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한 증산위주의 고 투입농법에 의존한 결과 농업환경이 악화되어 농업의 지속과 소비자 건강을 위협하고, FTA 등 농산물 개방과 국제화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친환경농산물 생산을 통한 국제경쟁력 향상이 요구되자 정부는 친환경농업을 미래농업의 성장 동력으로 적극 육성하여 1990년대 후반 이후 매년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국민소득수준의 증가와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친환경농업의 성장기반을 공고히 하고 있다.


2018년 폭염일수가 31.3일로 1994년의 31.1일을 밀어낸 최대 폭염일수 년도라고 하듯 올해는 너무나 힘든 여름을 보냈다. 이 같은 기후 변화의 여러 요인 중에서 지구 온난화, 현대 온난화의 원인은 온실가스의 증가에 있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산업 발달에 따라 석유와 석탄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고 농업 발전을 통해 숲이 파괴되면서 온실효과의 영향이 커졌다고 본다.  

토양은 지구 육지 탄소의 70%를 지니고 있다. 이는 지구의 모든 바이오매스의 4배이고 대기 CO2의 3배에 이르는 양으로 유기 탄소의 막대한 저장고이기 때문에 온난화로 야기된 기후변화는 친환경 농업의 육성필요성을 더욱 크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친환경농업 기술 개발․ 보급 및 체계화, 친환경 지역순환농업시스템 구축, 친환경농산물 농가공사업 ․육성, 조직화된 친환경농산물 생산단지 조성, 친환경농산물 품목 다양화 등에 더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친환경농업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자체의 경제성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친환경농산물이 무농약, 유기농법을 통해 재배하다 보니 재배면적 비중은 4.4%인데 생산량 비중이 2.6%에 불과한 것과 같이 단위생산량이 떨어지며 더욱이 산지에서는 제한적인 출하선택권과 미흡한 수확 후 관리 체계 등의 어려움에 더하여 중간 유통 단계에서는 도매기능의 부재로 도매시장을 통한 대표가격 발견이 없어 불투명한 유통정보 하에서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 상호 협의에 의해 거래가격을 정하고 있다. 게다가 소매 단계에서는 판매점 부족, 수급 불안정성, 품질 유지 곤란 등의 개선하여야할 부문이 아직 많은 것이 현실이다.

환경을 보전하고 소비자에게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해 합성농약과 화학비료 및 항생·항균제 등 화학자재와 가축사료 첨가제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량을 투입하여 생산한 유기농 채소는 일반 채소 보다 1.9배, 사과와 배 등 과일은 무 농약이 일반 과일에 비해 1.6배 비싼 가격에 판매되는 것은 소비자들이 친환경농산물이 비록 비싸지만 몸에 좋은 만큼 당연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지속가능한 친환경 농업을 위해서는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가 중요하다. 친환경농산물에 유통표준코드를 부착하여, 상품의 유통단계에서 소비자들이 간단한 바코드 자동인식만으로 품목명, 생산자, 인증번호, 인증상태, 인증일자, 인증기간, 인증종류, 인증기관명 등 인증 상태와 포장일자, 납품일자, 납품처 등 상품별 유통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친환경농산물 생산자조직과 소비자조직 간의 제휴 결합을 통한 직거래와 유기농업의 운동적 측면이 조화된 생활협동조합과 같은 친환경농업조직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