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능성식품 시대 열렸는데...일본은 훨훨, 한국은 규제에 발 묶여

日, 기능성표시 식품제도 시행 2년 만에 건강식품시장 3배 이상 증가
도입 초기 영양제, 요구르트서 과자, 음료 등 일반식품으로 범위 확대
韓, 건강기능식품 성장세 2012년부터 3년간 연평균 3.9% 불과
사전승인 제도 등 과도한 규제 원인, 농산물 기능성 표시제 도입해야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일본의 기능성표시 식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기능성표시 식품제도 시행 2년 만에 관련 시장 규모가 3배 이상 증가한 것. 과자, 초콜릿 등 일반 식품에 기능을 표시함으로써 건강식품화가 한창이다.


기능성표시 식품제도는 국가가 아닌 사업자가 식품의 기능을 입증하면 건강효과를 제품 전면에 표기할 수 있는 제도다.

일본은 지난 2015년 4월부터 소비자청 신고만으로 건강효능 표기가 가능한 기능성표시 식품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제도 도입 전에는 특정 보건용 식품의 경우 건강효과를 표기할 수 있으나 정부의 개별적 심사제도가 필요해 인증을 받으려면 비용도 많이 들고 시간도 오래 걸렸다.

19일 시장조사기관 야노 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일본 기능성 표시 식품시장은 2015년 446억엔에서 2016년에는 1483억엔으로 3배 이상 확대됐다.
    
종류별로 살펴보면 영양제가 49.2%, 기타 가공식품이 42.6%, 신선식품이 8.2%를 차지했다.

야노 경제연구소는 기능성표시 식품제도 신고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2017년도에도 해당 시장은 확대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분석했다.

기능성표시 식품제도 신고수리 건수는 2017년 4월 중순 기준 842건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제도 시행 초기에는 영양제나 요구르트 위주였으나 최근에는 과자, 음료 등 일상 식품으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외식업계도 기능성 표시 식품제도를 활용해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꾀하고 있다.  

요시노야는 외식 체인업계 최초로 올해 3월부터 식후 혈당 상승을 완만하게 하는 사라시노루이(사라시아에서 추출)라는 성분을 넣은 규동 제품을 통신판매용으로 판매하기 시작했다.

또 올해 1월에는 기능성표시 식품은 아니지만 면역력을 높일 수 있는 유산균을 넣은 돼지고기 된장국을 판매해 건강한 식사를 판매한다는 이미지를 꾸준히 높이고 있다.

반면 국내는 오히려 기능성식품 산업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식품산업에서 건강기능식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2%로 미국이나 일본은 물론 중국보다 낮다. 특히 최근에는 그 성장 속도가 전하되고 있다. 식품산업이 2005년 이후 연평균 9%대로 빠르게 성장하는 반면 건강기능식품 성장세는 2012년부터 3년간 연평균 3.9%에 불과하다.

농경연은 엄격한 사전 승인 제도 등을 비롯한 과도한 규제를 원인으로 지적했다. 

농산물에 대한 기능성 표시제도 도입도 요구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농산물에 대한 기능성 표시에 대한 제도가 없는 실정이다.

농경연 국승용 연구위원은 “기능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와 식품의 안전성을 보장하면서 소비자의 알 권리와 선택권을 보장하는 식품의 기능성 표시제 도입이 필요하다”며 “미국, 일본과 같이 기능성 식품을 관리하는 법령 내에 기능성 표시와 관련된 조항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농산물의 기능성 표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미국 FDA와 같이 기능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확보된 농산물에 대한 표시 가이드라인 또는 표준 문안을 작성.배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KOTRA 오사카 무역관은 "일본 소비자의 기능성표시 식품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70%에 달하는 데다가 2016년 광고 및 마케팅 회사 덴츠에 따르면 요구르트의 경우 2명 중 1명은 건강에 대한 기능이 표시돼 있는 제품을 사겠다고 응답해 소비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 식품 기업 및 한식당도 김치, 홍초, 인삼 등 기존에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식품의 효과를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입증함으로써 맛있으면서도 건강한 식품으로서 한국 식품의 이미지를 제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국내 업계 관계자는 "국내에서는 기능성을 표시하는 것은 허위.과장 광고로 규제를 받는다. 이는 수입 먹거리들과 형평성에서도 문제가 된다"며 "국내 제품의 판매 활성화를 위해서도 제도 개선과 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