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샘표의 차(茶) 전문 브랜드 순작이 ‘순수한 자연의 작품’이라는 슬로건처럼, 재료 본연의 건강함을 담은 ‘진쌍화차’와 ‘진생강차’를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 출시로 ‘율무차’와 ‘밤마차’에 이어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며, ‘건강차’ 카테고리 강화에 나섰다. 생강차와 쌍화차는 몸을 따뜻하게 해줘 환절기 등 찬바람이 부는 계절이면 더욱 즐겨 찾게 되는 전통 건강차다. 오랜 세월 꾸준히 사랑받아온 만큼 시중에 다양한 제품이 있지만, 주재료인 쌍화나 생강이 아닌 당류의 비중이 높은 제품도 있어 ‘너무 달다’, ‘단맛만 있고 밍밍하다’는 소비자들의 아쉬운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이에 순작은 차에 들어가는 원재료 하나하나 꼼꼼히 엄선하고, ‘정온진향공법’으로 진하게 달여내 재료 본연의 향과 맛을 살린 신제품을 선보였다. △착색료 △산도조절제 △고결방지제 △감미료도 넣지 않아 더욱 건강하게 만들었다. ‘순작 진쌍화차’는 400년 전 조선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7가지 쌍화 원재료의 건강함을 그대로 담은 제품이다. 당귀와 천궁, 백작약, 황기, 생강, 대추 등 100% 국내산 원재료를 듬뿍 넣고 정성껏 달여 쌍화차 고유의 깊고 진한 맛과 향을 완성했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정관장이 프리미엄 침향 전문 브랜드 ‘기다림 침향’을 론칭하며 침향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침향은 침향나무가 상처를 입었을 때 스스로를 보호하고 치료하기 위해 분비되는 수지성분을 일컫는다. 침향은 수지가 응집되고 숙성하는데까지 10~20년 오랜 기간이 소요되고 나무 한 그루에서 소량 채취돼 예로부터 귀한 원료로 여겨졌다. 침향은 '동의보감' '본초강목' 등 주요 문헌에서도 특별하게 활용돼 온 귀한소재로, 향유고래의 용연향, 사향노루의 사향과 함께 세계 3대 향으로 손꼽히기도 한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팩트MR(Fact.MR)’에 따르면 전세계 침향오일 시장규모는 2023년 2억5000만달러다. 2033년에는 4억5000만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해외 시장에서도 주목받는 소재다. 이번에 정관장이 선보인 ‘기다림 침향’은 유전자 분석 기술로 침향의 기원까지 판별해 더욱 믿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환경산림부(BKSDA)로부터 인증서를 발급받아 재배인, 재배지, 등급과 기원까지 한 번 더 확인한 고품질 침향만을 사용한다. 침향의 주 원산지는 인도네시아·베트남 등 동남아시아로, 그 종류만 20여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KGC인삼공사는 프리미엄 녹용브랜드 '천녹'이 지난 2014년 12월 출시 이후 연평균 성장률 70% 대를 기록하면서 누계 매출 2000억원을 돌파했다고 15일 밝혔다.녹용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확대 속에 믿을 수 있는 녹용 제품을 소비자 니즈에 맞춰 다양하게 출시한 점이 매출로 이어진 것으로 회사 측은 보고 있다. ‘천녹(天鹿)’은 ‘하늘이 내려준 귀한 녹용’이라는 뜻으로 청정 환경에서 자란 건강한 사슴의 뿔만을 엄선해 전통원료를 배합한 프리미엄 녹용브랜드다. 총 8단계에 이르는 까다롭고 엄격한 정관장 만의 관리를 통해 녹용의 윗 부분인 녹용팁까지 함유하여 녹용제품의 품질을 높였다. ‘천녹’의 대표 제품으로는 ‘천녹정’, ‘천녹정 편’, ‘천녹톤’ 등이 있다. ‘천녹정’은 녹용 뿐만 아니라 홍삼을 함유한 농축액 타입의 제품이며, ‘천녹정 편’은 ‘천녹정’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스틱 형태로 만든 제품이다. 특히 ‘천녹정 편’은 휴대성이 좋아 전 연령대에서 인기를 얻으며 작년 대비 약 30%이상 성장했다. ‘천녹톤’은 녹용과 홍삼을 주원료로 숙지황, 구기자, 당귀 등을 더해 만든 액상 파우치 타입의 제품이다. KGC